혈관계 질환

동정맥혈전증(Arteriovenous Thrombosis)이란? 특징,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수술방법

질병연구소(Disease Research) 2025. 6. 26. 13:44
반응형

동정맥혈전증(Arteriovenous Thrombosis)은 동맥 또는 정맥 내부에 혈전(피떡)이 형성되어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 용어는 **"동맥혈전증"**과 **"정맥혈전증"**을 통틀어 지칭할 때 사용되며, 두 가지는 병태생리와 임상 양상이 다릅니다.

1. 정의

**동정맥혈전증(Arteriovenous Thrombosis)**은 동맥(artery) 또는 정맥(vein) 안에 혈전(thrombus, 혈액 응고물)이 비정상적으로 형성되어 혈관 내 혈류를 방해하거나 차단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 혈전은 혈소판, 섬유소, 적혈구 등이 응고된 덩어리로, 원래는 출혈을 막기 위한 정상적인 생리 반응이지만, 혈관 안에서 비정상적으로 형성되면 병적인 상황이 됩니다.

분류에 따른 차이

  1. 동맥혈전증 (Arterial Thrombosis)
    동맥에서 발생하는 혈전증은 대부분 죽상경화증(동맥 내 콜레스테롤 침착으로 생긴 플라크)과 관련이 있습니다. 플라크가 파열되면 그 부위에 혈전이 형성되어 혈관이 급격히 좁아지거나 막히고, 그 결과 심근경색, 허혈성 뇌졸중, 사지 말단의 괴사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2. 정맥혈전증 (Venous Thrombosis)
    정맥에서의 혈전은 주로 혈류 정체, 혈관 내피 손상, 혈액 응고 항진 상태에 의해 발생하며, 이를 **비르쇼우의 3대 요소(Virchow’s triad)**라고 부릅니다. 주요 형태는 **심부정맥혈전증(DVT)**과 그 혈전이 폐로 이동하는 **폐색전증(PE)**입니다.

혈전의 형성 원인

  • 동맥혈전증에서는 혈소판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흡연 등의 위험요소가 죽상경화를 유발하고, 그 위에서 혈전이 형성됩니다.
  • 정맥혈전증에서는 섬유소 중심의 응고 과정이 중요합니다. 수술 후 장기 고정 상태, 임신, 암, 피임약 복용 등이 정맥혈전의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참고 자료 링크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2. 특징

아래는 동정맥혈전증(동맥 및 정맥혈전증)의 **특징(Clinical Features)**을 더 자세하게 정리한 내용입니다.

1. 동맥혈전증의 특징

  • 혈전 성분 및 형태
    동맥혈전은 주로 혈소판과 섬유소 중심으로 구성되며, 고속의 혈류 환경에서 형성됩니다. ‘흰색 혈전(white clot)’으로 불리며, 층상 구조(Lines of Zahn)가 관찰되기도 합니다 (pubmed.ncbi.nlm.nih.gov, en.wikipedia.org).
  • 병태생리 및 발병 기전
    죽상경화로 인한 플라크가 파열되면 혈관 내피가 노출되고, 콜라겐과 von Willebrand factor가 혈소판을 빠르게 유인하여 응집을 유도합니다. 이후 응고 인자 활성화로 섬유소 피브린 그물이 생성되어 혈전이 급속하게 재형성됩니다 .
  • 임상적 결과
    혈류가 순간적으로 차단되면 심근경색, 허혈성 뇌졸중, 사지 급성 허혈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혈전은 동맥 폐색의 주요 원인으로, 생명 및 장기 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2. 정맥혈전증의 특징

  • 혈전 성분 및 형태
    정맥혈전은 적혈구와 피브린 중심의 **붉은색 혈전(red clot)**으로, 낮은 전단응력 환경에서 형성됩니다 (pmc.ncbi.nlm.nih.gov).
  • 비르쇼우의 삼대 요소
    발생 핵심 요인은 다음 세 가지입니다:
    1. 혈관 내피 손상
    2. 혈류 정체
    3. 과도 응고 상태
      이 세 요인이 합쳐지면 혈전 형성 위험이 증가합니다 (ahajournals.org).
  • 임상적 표현
    • 심부정맥혈전증(DVT): 다리 부종, 통증, 발적, 열감, 정맥 확장 가능 .
    • 폐색전증(PE): 심각한 경우 호흡곤란, 흉통, 실신 등 급성 증상으로 나타납니다 (en.wikipedia.org).
  • 중증 형태
    매우 심한 경우 phlegmasia alba/cerulea dolens로 진행할 수 있으며, 이는 청백색 또는 청자색 부종과 조직 허혈을 동반하고, 잠재적으로 괴사나 실신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ncbi.nlm.nih.gov).

3. 동맥 vs 정맥 혈전의 비교

구분 동맥혈전(arterial) 정맥혈전(venous)

구성 혈소판 + 섬유소 (“흰색혈전”) 적혈구 + 피브린 (“붉은색혈전”)
형성 환경 고전단응력 (빠른 혈류) 저전단응력 (정체 혈류)
주요 병태 죽상경화 파열 → 혈소판 중심 응집 비르쇼우 삼대 요소 → 응고 중심
임상 증상 심근경색, 뇌졸중, 급성 허혈 부종, 통증, 폐색전증
혈전층 구조 Lines of Zahn 가능 없음

 

4. 혈전의 진행·합병증

  • 동맥혈전: 플라그 파열 후 혈전이 성장하며 혈관을 완전히 막는 경우 심각한 허혈 상태 초래 (en.wikipedia.org).
  • 정맥혈전: 초기에는 증상이 없을 수 있으나, 진행하면 폐색전증으로 진행하거나 만성 정맥부전, 울혈성 부종, 피부 병변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

5. 진단적 특징

  • 동맥혈전증: 심전도(ECG), 심근효소, CT·MRI·혈관조영술 등을 통해 급성 혈관 폐색 여부를 평가.
  • 정맥혈전증: D-dimer 검사로 선별 후 압박 초음파, CT 폐혈관조영술을 통해 최종 진단 .

이처럼 동맥 혈전증과 정맥 혈전증은 형성 메커니즘, 혈전 구성, 임상 양상, 검사 및 치료 접근에서 확연히 다릅니다


반응형

3. 원인

동정맥혈전증의 원인에 대해 동맥과 정맥 각각의 기전과 위험 인자를 중심으로 최대한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1. 동맥혈전증의 주요 원인

● 죽상경화증 및 플라크 기능 이상

  • 동맥 내 콜레스테롤이 쌓여 플라크를 형성하고, 이 플라크가 파열되면 혈관 내피가 노출되어 혈소판 응집과 응고계 활성화를 유도합니다. 이로 인해 흰색 혈전이 빠르게 형성되며,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등의 급성 허혈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 죽상경화와 관련된 만성 염증(류마티스, 루푸스 등)도 혈관벽을 손상하고 혈전 형성을 촉진합니다 .

● 혈관 내피 손상

  • 동맥벽의 외상, 고혈압에 의한 지속적 기계적 스트레스, 수술·외상 등이 혈관 내피 세포의 구조와 기능에 손상을 일으켜 혈전 형성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
  • 중증 감염이나 전신 염증 상태에서도 내피세포의 혈관 항응고 기능이 저하되어 혈전 형성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됩니다 .

● 혈액 자기 구성(응고 경향)의 변화

  • 고피브리노겐혈증은 혈액 점도를 높이고, 혈소판 응집과 섬유소 망 형성을 촉진하여 동맥혈전 발생 위험을 두 배 이상 증가시킵니다 .
  • Factor V Leiden, 프로트롬빈 G20210A 돌연변이, 단백질 C/S 결핍 등 유전적 응고 이상은 동맥뿐 아니라 정맥 혈전 위험 증가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

2. 정맥혈전증의 주요 원인 (비르쇼우의 삼대 요소)

① 혈류 정체 (Stasis)

  • 장시간 누워 있거나 비행기·자동차 여행 등에서 움직임이 적으면 정맥 내 혈류가 느려져 혈전 형성이 쉬워집니다 .
  • 비만, 하지 정맥류, 심부전, 종양·임신에 의한 혈관 압박 등도 혈류 정체를 유발합니다 (wellwisp.com).

② 혈관 내피 손상

  • 외상, 수술, 중심정맥관 또는 카테터 삽입에 의한 직접적 손상이 정맥 내 혈전 형성을 유발합니다 .
  • 만성 염증이나 감염, 흡연과 같은 환경적 요소도 내피기능장애를 유도합니다 .

③ 과응고 상태 (Hypercoagulability)

  • 유전적 요인: Factor V Leiden, 프로트롬빈 G20210A, 단백질 C/S 또는 항트롬빈 III 결핍 등이 대표적 원인입니다 (wellwisp.com).
  • 후천적 요인:
    • 암: 조직인자 생성 및 면역 반응 유도로 응고계 동시 활성화 .
    • 임신, 경구피임약, 호르몬 치료: 호르몬 변화로 인해 응고인자 증가.
    • 신증후군, 염증성 장질환, 항인지질 증후군(APS): 신부전·자가면역 반응으로 인해 응고 경향 증가 .
  • 기계적/대사적 요인:
    • 비만: PAI‑1 증가, 점도 증가, 응고인자 과발현 등으로 혈전 발생률 증가 (reddit.com, ahajournals.org).
    • 탈수, 다혈구증(polycythemia vera): 혈액 점도 증가로 혈류 정체 촉진 .

3. 주요 리스크 인자 종합

구분 원인 및 리스크 요인 설명

유전적 요소 Factor V Leiden, 프로트롬빈 돌연변이, C/S/ATIII 결핍 선천적으로 응고 경향이 높음
후천적인 응고 질환 항인지질 증후군, 신증후군, CA 자가면역/신장 장애로 응고 활성화
다양한 종양, 항암치료 조직인자 생성 및 혈관 내 염증
호르몬 임신, 경구피임약, HRT 응고인자와 점도 증가
혈류 정체 장기간 입원, 비만, 하지정맥류 정맥 내 혈류 지체
내피 손상 외상, 수술, 흡연 혈관 내피의 항응고 기능 저하
대사/기계화 환경 탈수, 다혈구증 응고인자 활성/점도 증가

 

📌 추가 참고 링크


이처럼 동정맥혈전증은 동맥과 정맥에서 각각 다른 원인과 위험 인자를 통해 발생합니다. 원인별 병태생리와 임상적 유의점을 이해하면 이후 진단, 치료 및 예방 전략에서도 정확한 접근이 가능해집니다..


출처: 서울아산병원

4. 증상

이제 요청하신 동정맥혈전증의 증상에 대해 동맥혈전증과 정맥혈전증으로 나누어, 최대한 자세하게 설명드리고 관련 자료 링크도 문장 안에 섞어드리겠습니다.

1. 동맥혈전증의 증상 (Arterial Thrombosis)

1-1. 공통적 증상 특징

동맥혈전증은 조직으로 가는 혈류가 급격히 차단되어 허혈성 손상을 유발합니다. 증상은 혈전이 생긴 동맥의 위치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 빠르게 나타나며 응급 처치가 필요합니다.

1-2. 심장 (관상동맥 혈전증)

  • 대표 질환: 급성 심근경색(Heart attack)
  • 주요 증상:
    • 갑작스러운 흉통 (특히 가슴 중앙 또는 왼쪽에서 쥐어짜는 듯한 느낌)
    • 통증이 팔, 목, 턱, 등으로 방사됨
    • 식은땀, 오심, 구토, 어지럼증
    • 호흡곤란, 불안감
  • 설명 자료: Mayo Clinic - Heart Attack Symptoms

1-3. 뇌 (뇌동맥 혈전증)

  • 대표 질환: 허혈성 뇌졸중
  • 주요 증상:
    • 얼굴, 팔, 다리의 갑작스런 마비 (특히 한쪽 편만)
    • 언어장애, 발음 이상, 이해력 저하
    • 시야 흐려짐 또는 시야 일부 상실
    • 균형 장애, 어지럼증, 혼란
  • 설명 자료: Stroke.org - Stroke Signs and Symptoms

1-4. 사지 (말초동맥 혈전증)

  • 대표 질환: 급성 사지 허혈
  • 주요 증상:
    • 팔이나 다리가 차가워지고 창백해짐
    • 맥박이 사라지거나 약해짐
    • 극심한 통증
    • 감각 저하 또는 마비
    • 움직임 제한
  • 설명 자료: Cleveland Clinic - Acute Limb Ischemia

2. 정맥혈전증의 증상 (Venous Thrombosis)

2-1. 심부정맥혈전증 (DVT, Deep Vein Thrombosis)

  • 주요 발생 부위: 대퇴부, 종아리 등 하지 깊은 정맥
  • 주요 증상:
    • 국소 부위 부종 (특히 한쪽 다리)
    • 통증 또는 당기는 느낌
    • 발적 또는 청색증
    • 눌렀을 때 통증 또는 경련
  • 설명 자료: CDC - DVT Symptoms

2-2. 폐색전증 (PE, Pulmonary Embolism)

  • 정맥혈전(특히 DVT)이 떨어져 나와 폐동맥을 막는 질환
  • 주요 증상:
    • 갑작스러운 호흡곤란
    • 흉통 (특히 심호흡 시 악화)
    • 빠른 심박수, 실신
    • 기침, 때로는 혈담
  • 중증도에 따라 생명을 위협할 수 있음
  • 설명 자료: NHS - Pulmonary Embolism

2-3. 만성 정맥질환 및 후유증

3. 종합 정리

위치 대표 증상

심장 흉통, 호흡곤란, 땀, 방사통
편측 마비, 언어장애, 시야장애
사지(동맥) 차가움, 창백함, 마비, 통증
다리(정맥) 부종, 통증, 발적
호흡곤란, 흉통, 실신

 

증상은 혈전이 형성된 위치에 따라 다르며, 어느 경우든 조기 발견과 대응이 매우 중요합니다.


출처: 서울아산병원

5. 진단

동정맥혈전증의 진단에 대해 동맥혈전증과 정맥혈전증으로 나누어 최대한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중간중간 신뢰할 수 있는 자료 링크도 포함하겠습니다.

1. 동맥혈전증 진단

1-1. 임상 증상 및 신체검사

  • 급성 허혈 증상이 의심되면 먼저 환자의 병력과 증상을 자세히 청취합니다.
  • 팔, 다리 등의 맥박을 촉진하여 감소 또는 소실 여부를 확인합니다.
  • 피부색 변화, 온도 변화, 운동 및 감각 장애 여부를 평가합니다.
  • 말초동맥 질환이 의심될 경우, 심전도(ECG)와 혈관 청진(브루이 검사)을 시행합니다.

1-2. 영상 진단

  • 도플러 초음파 검사: 혈류의 존재와 속도, 혈관 폐색 정도를 평가하는 1차 비침습 검사입니다.
  • 혈관조영술 (Angiography): 혈관 내에 조영제를 주입하여 혈관 폐색 부위를 직접 확인하는 방법으로, 진단뿐 아니라 치료 시에도 활용됩니다.
  • CT 혈관조영술(CTA)MRI 혈관조영술(MRA): 비침습적으로 혈관 상태를 평가하는 영상으로 정확도가 높고, 최근 많이 사용됩니다.
  • 참고자료: Radiopaedia - Arterial thrombosis imaging

1-3. 실험실 검사

  • 심근효소 검사 (CK-MB, Troponin): 심근경색이 의심되는 경우 손상 정도 평가에 활용됩니다.
  • 혈액 응고 검사: 혈소판 수, 프로트롬빈 시간, INR 등을 검사하여 혈액 응고 상태를 파악합니다.

2. 정맥혈전증 진단

2-1. 임상 평가

  • 증상과 병력 청취가 중요합니다. 하지 부종, 통증, 피부 발적, 열감 등이 주요 증상입니다.
  • 웰스 점수(Wells score): DVT 가능성을 평가하는 임상 도구로, 점수에 따라 추가 검사를 결정합니다.
  • 참고자료: Wells Score for DVT - MDCalc

2-2. 혈액 검사

  • D-이합체(D-dimer): 혈전 분해 산물로, 혈전 가능성을 배제하는 데 유용하지만, 양성 시 확진이 아니므로 영상 검사가 필요합니다.
  • 참고자료: Lab Tests Online - D-dimer

2-3. 영상 검사

  • 압박 초음파 (Compression Ultrasonography): 가장 널리 쓰이는 검사로, 정맥이 눌러지는지 여부로 혈전 존재를 확인합니다. 비침습적이며 신뢰도가 높습니다.
  • CT 폐혈관조영술 (CT Pulmonary Angiography, CTPA): 폐색전증 진단에 가장 표준적인 검사법입니다.
  • 정맥 조영술 (Venography): 침습적 검사로, 현재는 초음파 검사가 보편화되면서 제한적으로 사용됩니다.
  • 참고자료: Radiology Assistant - Deep vein thrombosis

3. 추가적인 진단 방법 및 평가

  • 심장 초음파 (Echocardiography): 폐색전증으로 인한 우심실 기능 부전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 혈액 응고 관련 유전 검사: 반복되는 혈전증 환자나 원인을 알기 어려운 경우 Factor V Leiden, 프로트롬빈 유전자 변이 검사 등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 참고자료: UpToDate - Venous thromboembolism: Evaluation and diagnosis

6. 치료 및 수술 방법

동정맥혈전증의 치료 및 수술방법에 대해 동맥혈전증과 정맥혈전증으로 나누어 최대한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관련 자료 링크도 함께 드립니다.

1. 동맥혈전증 치료 및 수술방법

1-1. 약물 치료

  • 항혈소판제: 아스피린, 클로피도그렐 등이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여 혈전 진행을 막습니다.
  • 항응고제: 헤파린(급성기), 와파린(장기) 및 직접경구항응고제(DOACs)가 사용됩니다.
  • 혈전용해제(Thrombolytics): 급성 심근경색이나 뇌경색 초기에는 혈전을 직접 용해시키는 약제를 정맥 또는 동맥 내 주입하기도 합니다.
  • 참고자료: American Heart Association - Treatment of Arterial Thrombosis

1-2. 수술 및 중재적 치료

  • 혈관 성형술 (Angioplasty): 막힌 동맥을 풍선으로 확장시키고, 필요 시 스텐트를 삽입해 혈관을 유지합니다.
  • 혈전제거술 (Thrombectomy): 수술적으로 혈전을 직접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 우회술 (Bypass surgery): 심한 혈관 폐색 시 다른 혈관으로 우회로를 만들어 혈류를 확보합니다.
  • 급성 동맥 폐색 시 신속한 수술적 개입이 예후를 좌우합니다.
  • 참고자료: Cleveland Clinic - Arterial Thrombosis Treatment

2. 정맥혈전증 치료 및 수술방법

2-1. 약물 치료

  • 항응고제
    • 급성 DVT나 폐색전증 치료의 기본입니다.
    • 초기에는 저분자헤파린(LMWH)이나 직접 경구 항응고제(DOACs) 사용이 일반적이며, 이후 와파린으로 전환하기도 합니다.
    • 치료 기간은 보통 3~6개월이나, 원인과 재발 위험에 따라 조절됩니다.
  • 참고자료: 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 VTE Treatment Guidelines

2-2. 혈전용해술 (Thrombolysis)

  • 중증 폐색전증이나 광범위한 하지 DVT에서 혈전 용해제를 사용하여 혈전 제거를 시도합니다.
  • 주로 카테터를 통해 직접 혈전 부위에 약물을 투여하는 카테터 기반 혈전용해술이 시행됩니다.
  • 출혈 위험이 높아 적용에 신중을 기해야 합니다.
  • 참고자료: UpToDate - Catheter-directed thrombolysis for DVT

2-3. 수술적 치료 및 기계적 혈전 제거

  • 전통적인 혈전제거술은 드물게 시행되며, 혈전 용해술 실패 시 고려합니다.
  • 혈관 내 필터(폐색전증 예방용 inferior vena cava filter): 항응고제 치료가 금기이거나 실패한 경우 폐색전증 예방을 위해 하대정맥 필터를 삽입합니다.
  • 참고자료: Radiopaedia - Inferior vena cava filter

3. 치료 시 주의사항 및 환자 맞춤 치료

  • 혈전 위치, 크기, 환자 상태(출혈 위험, 동반 질환)에 따라 치료법이 달라집니다.
  • 항응고제 복용 시 출혈 위험과 약물 상호작용을 꼼꼼히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 수술적 치료는 혈전이 심하거나 약물치료로 해결되지 않는 경우에 선택됩니다.

7. 예후와 관리방법

동정맥혈전증의 예후와 관리방법에 대해 동맥혈전증과 정맥혈전증으로 나누어 최대한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관련 자료 링크도 함께 포함하겠습니다.

1. 동맥혈전증의 예후

1-1.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혈전 발생 부위와 범위
  • 초기 치료의 신속성 및 적절성
  • 환자의 기저질환(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등)
  • 재발 여부 및 합병증(뇌졸중, 심근경색 등) 발생 유무

1-2. 주요 합병증

  • 조직 괴사 및 기능 상실
  • 만성 허혈로 인한 운동 제한 및 장애
  • 뇌졸중, 심근경색 등 심각한 장기 손상
  • 치료 지연 시 생명 위험 증가

1-3. 예후 관리

2. 정맥혈전증의 예후

2-1.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혈전의 크기와 위치
  • 폐색전증 여부 및 심한 정도
  • 적절한 항응고 치료 시작 시점
  • 환자의 연령과 동반 질환

2-2. 주요 합병증

  • 폐색전증으로 인한 급성 호흡부전 및 사망 위험
  • 만성 정맥 부전으로 인한 하지 부종, 통증, 피부 궤양
  • 혈전 재발 위험

2-3. 장기 관리 및 재발 방지

3. 예방 및 생활 관리

  • 장기간 침상안정 또는 수술 후 조기 움직임 권장
  • 수분 섭취를 충분히 하여 혈액 점도 감소
  • 금연 및 고지혈증, 당뇨병 등 만성질환 관리
  • 장시간 비행 또는 여행 시 움직임과 스트레칭
  • 정기적 혈액 검사와 진료를 통해 항응고제 용량 조절

 

 

 

급성정맥부전증(Acute Venous Insufficiency)이란? 특징,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수술방법

 

급성정맥부전증(Acute Venous Insufficiency)이란? 특징,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수술방법

급성정맥부전증(Acute Venous Insufficiency)은 정맥의 기능 이상으로 인해 혈액이 제대로 심장으로 되돌아가지 못하고, 하지(다리) 등의 말초 부위에 혈액이 고이는 질환입니다. 보통 만성정맥부전과

bwang2.tistory.com

 

동맥혈전증(Arterial Thrombosis)이란? 특징,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수술방법

 

동맥혈전증(Arterial Thrombosis)이란? 특징,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수술방법

동맥혈전증(Arterial Thrombosis)은 동맥 내에 혈전(피떡)이 형성되어 혈류를 차단하거나 제한하는 질환으로, 주요 장기에 산소와 영양분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아 심각한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

bwang2.tistory.com

 

호흡기계 경화증(Pulmonary Sclerosis)이란? 특징,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수술

 

호흡기계 경화증(Pulmonary Sclerosis)이란? 특징,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수술

호흡기계 경화증(Pulmonary Sclerosis)은 호흡기계의 조직, 특히 폐와 관련된 경화성 변화가 일어나는 질환입니다. 이 경화는 조직의 염증, 섬유화(fibrosis) 또는 비정상적인 세포 증식으로 인해 발생하

bwang2.tistory.com

 

하대동맥 미세혈관 질환이란? 특징, 원인, 증상, 치료 및 수술방법

 

하대동맥 미세혈관 질환이란? 특징, 원인, 증상, 치료 및 수술방법

하대동맥 미세혈관 질환은 하대동맥 및 그 분지에 있는 미세혈관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을 말합니다. 이러한 질환은 보통 작은 혈관들이 좁아지거나 손상되어 혈액 공급에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

bwang2.tistory.com

 

 

정맥동 혈전증( Cerebral Venous Sinus Thrombosis,CVST)이란? 특징,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수술방법

 

정맥동 혈전증( Cerebral Venous Sinus Thrombosis,CVST)이란? 특징,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수술방법

정맥동 혈전증은 뇌의 정맥계인 정맥동(cerebral venous sinus)에 혈전(혈액 덩어리)이 생겨 정맥 혈류가 막히는 질환입니다.정맥동은 뇌에서 혈액을 심장으로 돌려보내는 주요 정맥 경로로, 이 부위

bwang2.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