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환계통질환

방실접합부성 이탈 박동(AV Dissociation)란? 종류, 증상, 원인, 치료 및 수술 방법

질병연구소 2025. 2. 1. 07:52
반응형

 

방실접합부성 이탈 박동(AV Dissociation)은 심방과 심실이 전기적으로 독립적으로 박동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 상황에서 심방과 심실은 서로 다른 박동 주기를 가지고, 두 부분의 전기적 활동이 맞지 않게 됩니다. 보통 방실 접합부는 심방에서 발생한 전기 신호를 심실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지만, 방실접합부성 이탈 박동에서는 이 신호 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불완전하게 이루어집니다.

 

방실접합부성 이탈 박동의 정의

방실접합부성 이탈 박동은 심방과 심실의 박동이 동기화되지 않거나, 두 부분이 독립적으로 박동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두 부분이 독립적으로 박동하면서 심장 전도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상황을 말합니다.


출처: 위키백과

방실접합부성 이탈 박동의 종류

 

방실접합부성 이탈 박동은 전기적으로 심방과 심실이 어떻게 연결되는지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방실차단 (AV Block)

방실차단은 심방에서 발생한 전기 신호가 심실로 전달되지 않거나 전달되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리는 상태입니다. 방실차단은 1도 방실차단, 2도 방실차단, 3도 방실차단으로 구분됩니다.

  • 1도 방실차단 (First-degree AV block):
  • 정의: 심방에서 심실로의 전도는 이루어지지만, 전도가 지연되는 상태입니다.
  • 특징: 심전도에서 PR 간격이 길어집니다. PR 간격이 300ms 이상인 경우 1도 방실차단으로 진단됩니다. 보통 증상이 없으며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 2도 방실차단 (Second-degree AV block):
  • 정의: 일부 심방에서 발생한 전기 신호가 심실로 전달되지 않는 상태입니다.
  • 분류: 2도 방실차단은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
  • Type 1 (Wenckebach): PR 간격이 점점 길어지다가 하나의 심방 신호가 심실로 전도되지 않는 경우입니다.
  • Type 2 (Mobitz Type II): PR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다가 갑자기 하나의 심방 신호가 심실로 전달되지 않는 경우입니다. Type 2는 Type 1보다 더 심각할 수 있습니다.
  • 3도 방실차단 (Third-degree AV block):
  • 정의: 심방에서 발생한 모든 전기 신호가 심실로 전달되지 않는 상태입니다. 심방과 심실이 독립적으로 박동합니다.
  • 특징: 심방과 심실은 각각 독립적으로 박동하며, 심실은 심방 신호와 관계없이 자체적인 심박수를 유지합니다. 이로 인해 심박수가 매우 느려지며, 생명에 위협적일 수 있습니다. 심박조율기 삽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2) 심실성 이탈 박동 (Ventricular Dissociation)

심실이 심방의 전기적 신호 없이 독립적으로 박동하는 상태입니다. 보통 **심실 조기수축(PVC)**나 심실 빈맥이 동반되며, 심실이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박동하는 상황입니다.

 

(3) 완전 방실차단(Complete AV block)

완전 방실차단은 3도 방실차단의 경우로, 심방과 심실의 전기적 연결이 완전히 끊어진 상태입니다. 심방은 독립적으로 박동하고, 심실은 자체적인 전도 시스템에 의해 독립적으로 박동합니다.


 

방실접합부성 이탈 박동의 원인

 

1. 심장 질환

심장 질환은 방실접합부성 이탈 박동의 주요 원인입니다. 심장 구조나 전도 시스템에 문제가 생기면, 심방과 심실의 전도에 영향을 미쳐 AV 이탈 박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심근경색 (Myocardial Infarction): 심장에 혈액 공급이 차단되면 심근이 손상되며, 심장 전도 시스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심근경색 후에 전도 이상이 생겨 방실접합부성 이탈 박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심장판막 질환 (Valvular Heart Disease): 심장의 판막에 문제가 생기면 심장 전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승모판 역류나 대동맥판 협착 등은 전도 시스템에 부담을 주어 방실접합부성 이탈 박동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심장 우심실 비대 (Right Ventricular Hypertrophy): 심장의 우심실 비대가 심해지면 전도 시스템에 영향을 주어 AV 이탈 박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심부전 (Heart Failure): 심장이 약해지고, 전도 시스템의 효율이 떨어지면 심장 박동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방실접합부성 이탈 박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심장 수술 후: 심장 수술이나 시술 후에 전도 시스템이 손상되어 방실접합부성 이탈 박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약물

일부 약물은 심장 전도를 억제하거나 방해하여 방실접합부성 이탈 박동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약물은 심장의 전도 시스템에 영향을 미쳐 심방과 심실이 동기화되지 않게 만들 수 있습니다.

  • 디고탈리스 (Digoxin): 디고탈리스는 심장 박동을 조절하는 약물로, 심방세동이나 심방조기수축 등을 치료하는 데 사용됩니다. 하지만 과도한 디고탈리스 사용은 방실 전도를 차단할 수 있어 AV 이탈 박동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베타 차단제 (Beta-blockers): 베타 차단제는 심박수를 감소시키고 전도 속도를 늦출 수 있습니다. 일부 사람들에게는 베타 차단제가 방실차단을 유발하거나 심박수의 불규칙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칼슘 채널 차단제 (Calcium channel blockers): 칼슘 채널 차단제는 심박수를 느리게 하고 전도 속도를 늦출 수 있어, 과도하게 사용될 경우 방실접합부성 이탈 박동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항부정맥제 (Antiarrhythmic drugs): 항부정맥제도 심장 전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일부 약물은 전도 속도를 과도하게 늦추거나 방해하여 AV 이탈 박동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3. 전해질 불균형

전해질 불균형은 심장 전도 시스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방실접합부성 이탈 박동의 원인 중 하나입니다.

  • 칼륨(K+) 불균형: 혈중 칼륨 농도가 너무 높거나 낮을 때 심장 전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고칼륨혈증은 심장의 전기적 활동에 큰 영향을 미쳐 방실접합부성 이탈 박동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칼슘(Ca2+) 불균형: 혈중 칼슘 농도가 비정상일 경우 심장 전도에 문제가 생겨 방실접합부성 이탈 박동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저칼슘혈증 또는 고칼슘혈증 모두 심장 전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 마그네슘(Mg2+) 불균형: 마그네슘 농도가 너무 낮거나 높을 경우, 심장의 전도 시스템에 영향을 미쳐 방실접합부성 이탈 박동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4. 고령 (Age-related factors)

고령자는 심장 전도 시스템이 자연스럽게 약화되어 방실접합부성 이탈 박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나이가 들수록 방실접합부와 같은 심장의 전도 시스템이 점차적으로 손상되거나 노화되어 심박수의 조절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 방실 접합부의 변화: 고령자에서는 방실 접합부가 노화되거나 섬유화되어 전도에 장애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전도 시스템의 노화: 심장의 전도 시스템이 점차 약해지며, 이로 인해 방실차단 또는 방실접합부성 이탈 박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기타 질환

몇 가지 다른 질환도 방실접합부성 이탈 박동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심장염 (Myocarditis): 심장 염증이 전도 시스템에 영향을 미쳐 방실접합부성 이탈 박동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선천적 심장 전도 이상 (Congenital heart block): 일부 사람들은 선천적으로 심장 전도 시스템에 이상을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방실차단이나 AV 이탈 박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갑상선 질환 (Thyroid disease): 갑상선 기능 항진증 또는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 심장 전도에 영향을 미쳐 방실접합부성 이탈 박동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자율신경계 문제 (Autonomic dysfunction): 자율신경계에 문제가 생기면 심박수나 전도에 영향을 미쳐 AV 이탈 박동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방실접합부성 이탈 박동의 증상

 

1. 빈맥 (빠른 심박동)

  • 정의: 심실이 심방의 전기 신호와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빠르게 박동하는 상태입니다. 이 경우 심실의 전도 시스템이 자율적으로 빠른 박동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증상: 빠른 심박동은 가슴이 두근거리는 느낌(심계항진), 어지러움, 불안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심박수가 매우 빨라지면 심장에 부담을 주어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다른 증상들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2. 서맥 (느린 심박동)

  • 정의: 심실이 심방의 전기 신호 없이 독립적으로 박동하지만, 심실 박동이 느리거나 비정상적으로 저속할 때 발생합니다.
  • 증상: 심박수가 너무 낮아지면 혈액 순환에 문제가 생겨 어지럼증, 피로감, 현기증, 심한 경우 실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서맥은 특히 3도 방실차단에서 흔히 발생합니다.

 

3. 어지러움 및 실신

  • 정의: 심박수가 너무 빠르거나 느리게 되면 뇌로 가는 혈액 공급이 부족해져 어지러움이나 실신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증상: 빈맥이나 서맥이 심해질 경우, 뇌에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지 않아서 어지러움증이 발생하거나, 심한 경우 실신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실신은 일시적인 혈액 순환 부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급성 응급 상황일 수 있습니다.

 

4. 가슴 통증

  • 정의: 심장이 불규칙하게 빠르게 또는 느리게 박동하면 심장에 과도한 부담이 가해져 가슴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증상: 가슴에서 답답함, 압박감, 통증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가슴 통증은 심장에 과부하가 걸리거나 심장 근육에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을 때 나타날 수 있습니다.

 

5. 호흡곤란

  • 정의: 심장이 정상적으로 박동하지 않으면 혈액이 적절하게 순환하지 않아, 산소 공급이 부족해지면서 호흡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 증상: 심박수가 비정상적으로 빨라지거나 느려질 때, 산소가 제대로 공급되지 않아 호흡곤란, 숨 가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심장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면 신체의 다른 기관도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6. 피로감

  • 정의: 심장의 전도 이상으로 인해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않으면 신체의 산소 공급이 부족해져 피로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 증상: 지속적으로 피곤하거나 에너지가 부족한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평소에 쉽게 피로감을 느끼고, 심한 경우 일상 생활을 하는 데 어려움이 생길 수 있습니다.

 

7. 심계항진 (두근거림)

  • 정의: 심장이 불규칙하게 박동하면서 심방과 심실의 동기화가 깨지면 심계항진(심장이 두근거리는 느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증상: 심장이 빠르거나 불규칙하게 뛰는 느낌이 가슴에서 느껴지며, 이로 인해 불안이나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때로는 심박수가 너무 빨라지거나 느려져 불편함이 극대화될 수 있습니다.

 

8. 혼란 및 불안

  • 정의: 심장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면서 뇌로 가는 혈류가 부족해지면, 정신적인 혼란이나 불안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 증상: 심박수가 비정상적으로 빨라지거나 느려지면 뇌에 산소 공급이 부족해져 혼란, 불안감, 집중력 저하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방실접합부성 이탈 박동 치료

 

방실접합부성 이탈 박동의 치료는 증상과 상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 약물 치료:
  • 아트로핀: 서맥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아트로핀은 심박수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 도파민, 이소프로테레놀: 전도 차단을 완화하고 심박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약물입니다.
  • 심박조율기 삽입 (Pacemaker):
  • 3도 방실차단과 같이 심방과 심실의 전도가 완전히 차단된 경우, 심박조율기를 삽입하여 심박동을 정상화합니다. 심박조율기는 심장에 전기적 자극을 주어 심박수를 조절합니다.

 

  • 전기적 자극 치료:
  • 급성 심박동 이상이 발생한 경우, 제세동기나 심박동기 전기적 자극을 사용하여 심박수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 수술:
  • 전도 시스템에 심각한 문제가 있을 경우, 수술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심박조율기 삽입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결론

 

방실접합부성 이탈 박동(AV dissociation)은 심방과 심실의 전기적 활동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상태로, 심장 전도 시스템에 문제가 생겨 발생합니다. 이 상태는 방실차단, 심실성 이탈 박동, 완전 방실차단 등의 형태로 나눌 수 있습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심장 질환, 약물, 전해질 불균형, 고령 등이 있으며, 심박수의 비정상적인 증가(빈맥) 또는 감소(서맥), 어지러움, 가슴 통증,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치료는 증상과 상태에 따라 달라지며, 주로 약물 치료, 심박조율기 삽입, 전기적 자극 치료 등이 사용됩니다. 심박조율기는 3도 방실차단 등 심방과 심실의 전도 차단이 심한 경우 필수적입니다. 전기적 자극 치료와 약물을 통해 급성 상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심장 전도 시스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술적 접근도 필요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방실접합부성 이탈 박동은 심장 전도 이상으로 발생하는 심각한 상태로,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치료 방법에는 약물, 심박조율기 삽입, 전기적 자극 치료 등이 있으며, 심박조율기의 사용이 주요 치료 방법으로 널리 활용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