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관계 질환

대복재정맥류(Great Saphenous Vein Varix)이란? 특징,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수술방법

질병연구소(Disease Research) 2025. 5. 23. 14:37
반응형

**대복재정맥류(Great Saphenous Vein Varix)**는 하지의 주요 표재정맥인 **대복재정맥(Great Saphenous Vein, GSV)**이 확장되고 비정상적으로 꼬이거나 부풀어 오른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하지정맥류(Varicose Veins)**의 한 형태이며,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부위 중 하나입니다.

1. 정의

대복재정맥류란 하지의 주요 표재정맥 중 하나인 **대복재정맥(Great Saphenous Vein, GSV)**이 **병적으로 확장(dilation)**되고, **구불구불하게 변형(tortuosity)**되며, **정맥 내 혈액이 비정상적으로 정체하거나 역류(regurgitation)**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하지정맥류(varicose veins)의 한 형태이자, 가장 대표적인 유형입니다.

정맥 해부학적 구조와 관련된 정의 설명

  • **대복재정맥(GSV)**은 인체에서 가장 긴 표재정맥으로, 발목 안쪽에서 시작하여 무릎 안쪽과 허벅지 안쪽을 따라 올라가, **사타구니 부위의 대퇴정맥(femoral vein)**으로 합류합니다.
  • 이 정맥은 심부정맥계와 연결되어 있으며, 정맥 내 **일방향 판막(valve)**을 통해 혈액이 아래(다리)에서 위(심장)로 흐르도록 유도합니다.

병리학적 정의 구성 요소

대복재정맥류는 아래의 병리적 변화를 포함한 복합적 상태입니다:

  1. 정맥 확장 (Venous dilation)
    • 대복재정맥의 직경이 비정상적으로 커지고, 탄력성이 저하됩니다.
  2. 정맥판막 기능 부전 (Valvular insufficiency)
    • 정맥 내 혈액의 일방향 흐름을 유지하는 판막이 제대로 닫히지 않아, 중력의 영향으로 혈액이 역류합니다.
  3. 혈류 역류 및 혈액 정체 (Venous reflux and stasis)
    • 역류된 혈액이 정맥 내에 고이면서 압력을 증가시키고, 정맥벽을 지속적으로 확장시켜 정맥류를 악화시킵니다.
  4. 정맥의 기형적 경로 (Tortuous venous path)
    • 확장된 정맥은 직선 형태를 잃고 비틀리며, 겉으로 보기에도 구불구불한 형태가 됩니다.

기능적 정의의 관점에서

  • 대복재정맥류는 단순히 혈관이 넓어지는 상태를 넘어서, 하지 정맥순환계의 기능적 장애를 반영합니다.
  • 심장으로 돌아가야 할 정맥혈이 역류하거나 고이게 되면서, **하지에 다양한 증상(부종, 무거움, 통증 등)**을 유발하고 **만성정맥부전(Chronic Venous Insufficiency, CVI)**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요약 정의

대복재정맥류란 하지의 주요 표재정맥인 대복재정맥이 판막 기능 저하와 혈류 역류로 인해 병리적으로 확장되고, 구조적으로 변형되며, 그로 인해 하지의 정맥순환에 장애를 일으키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단순한 미용적 문제가 아닌, 하지정맥계 전체의 기능 저하와 관련된 혈관 질환입니다.


출처: 서울아산병원

2. 특징

1. 해부학적 특징

  • 발생 위치:
    • 대복재정맥은 발 안쪽에서 시작하여, 종아리 안쪽, 무릎 안쪽, **허벅지 안쪽을 따라 올라가 사타구니(서혜부)**에서 심부정맥(대퇴정맥)과 연결됩니다.
    • 대복재정맥류는 주로 **하지 내측(다리 안쪽)**에서 구불구불한 혈관 돌출 형태로 관찰됩니다.
  • 표재정맥에서 가장 흔하게 병변이 생기는 부위:
    • 하지정맥류 중 가장 흔한 원발성 병변 위치가 바로 이 대복재정맥입니다.
  • 직선 구조의 변화:
    • 원래는 직선 구조를 이루던 정맥이 **병적으로 확장되며 비틀림(tortuosity)**이 생기고, 육안으로 보일 정도로 돌출됩니다.

2. 임상적 특징

  • 눈으로 보이는 정맥 돌출:
    • 피부 표면 아래에서 푸르거나 보랏빛의 꼬불꼬불한 정맥이 부풀어 오름.
    • 오래 서 있거나 다리에 힘이 많이 들어가는 상황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관찰됩니다.
  • 증상은 증상의 강도와 시기에 따라 다양:
    • 초기에는 증상이 없을 수도 있으나, 진행될수록 무거움, 당김, 통증, 쥐남(야간에 흔함), 피로감, 부종 등이 발생합니다.
  • 자세나 활동에 따라 증상 변화:
    • 장시간 서 있을 때나 활동 후 증상이 심해지고, 다리를 올리면 증상이 완화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계절성 영향:
    • 기온이 높은 여름철이나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증상이 심화될 수 있음 (혈관이 팽창하기 쉬움).

3. 기능적 특징

  • 정맥 혈류 역류 (Reflux):
    • 정맥 내 판막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해, 혈액이 심장 쪽이 아닌 다리 쪽으로 역류하며 정체가 생김.
  • 정맥내 압력 상승:
    • 역류한 혈액이 정체되며, 정맥 내부 압력이 증가하고 정맥벽이 점점 확장되어 진행성 악화를 유발함.
  • 만성정맥부전(CVI)으로의 이행 위험:
    • 대복재정맥류가 장기화되면 피부변색, 피부염, 궤양 등을 동반하는 만성정맥부전으로 악화될 수 있습니다.

4. 미용적/정서적 특징

  • 외관상 문제:
    • 특히 젊은 여성 환자에게서 미용적 스트레스의 주요 원인이 됨.
    • 치마나 반바지 착용을 기피하게 되는 경우 많음.
  • 만져지는 덩어리 느낌:
    • 피부 밑에 말랑말랑하면서도 탄력 없는 지렁이처럼 만져지는 덩어리가 느껴지기도 함.

5. 진행 및 합병증 특징

  • 진행성 질환:
    • 방치 시 점차 다른 정맥으로 병변이 확장되며, 증상이 점점 심해지고 치료 난이도 증가.
  • 합병증 위험성:
    • 피부염, 색소침착, 정맥 피부궤양, 정맥혈전증(드물지만 존재) 등으로 발전할 수 있음.

6. 양측성 혹은 편측성 특징

  • 보통은 한쪽 다리에서 먼저 시작되지만, 양쪽 모두에 발생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7. 반응성 특징

  • 압박이나 추위에 의해 감소:
    • 정맥은 외부 온도나 압력에 반응하여 수축되기 때문에, 추운 환경이나 압박 스타킹 착용 후에는 덜 도드라져 보입니다.

8. 검사 소견 특징

  • 도플러 초음파 검사 시:
    • 대복재정맥의 확장된 부위에서 혈류의 역류가 관찰됨.
    • 역류 지속 시간, 위치, 방향 등으로 병의 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음.

정리 요약

대복재정맥류의 특징은 단순히 정맥이 커진 것을 넘어, 구조적 변형, 기능 저하, 진행성 변화, 증상 유발, 미용적 문제, 그리고 잠재적 합병증까지 포함하는 복합적인 임상 질환의 양상입니다. 대개 시간이 지날수록 증상이 악화되며, 초기에는 무증상이더라도 관리가 중요합니다.


반응형

3. 원인

대복재정맥류는 단일 원인보다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합니다.
크게 나누면 다음과 같은 기전적 범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1. 정맥 판막(valve)의 기능 부전 (Valvular Insufficiency)

  • 핵심 병인 중 하나로, 대복재정맥 내에 존재하는 일방향성 판막이 손상 또는 퇴화하여 생깁니다.
  • 이 판막은 중력에 저항하여 혈액이 위로(심장 방향)만 흐르도록 해주는데, 기능이 약해지면 **혈액이 아래로 역류(venous reflux)**하게 됩니다.
  • 역류는 정맥 내 **정체(stasis)**와 압력 상승을 초래하여 정맥이 확장되고, 결과적으로 정맥류가 형성됩니다.

원인 요인:

  • 반복적인 압력 증가 (서 있는 자세, 무거운 물건 들기 등)
  • 염증 또는 조직 손상
  • 유전적 결함에 의한 판막 구조 이상

2. 정맥벽의 약화 및 탄력성 저하

  • 정맥벽은 **콜라겐과 탄력섬유(elastin)**로 구성되어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지만,
    노화, 염증, 호르몬 변화 등으로 인해 이 구조가 약해지면 혈관이 쉽게 늘어나게 됩니다.

주요 원인:

  • 노화(Aging): 콜라겐 생성 감소, 탄력성 저하 → 정맥이 쉽게 확장됨
  • 유전적 체질: 가족력이 있는 경우 선천적으로 정맥벽이 약한 경향이 있음
  • 결합조직 질환: 마르팡 증후군(Marfan syndrome), 엘러스-단로스 증후군(Ehlers-Danlos syndrome) 등

3. 정맥 내 압력 증가 (Venous Hypertension)

  • 하지에서의 정맥압이 반복적으로 증가하면 정맥 내벽이 확장되고, 판막이 손상되기 쉽습니다.

대표적인 상황:

  • 장시간 서 있거나 앉는 자세의 반복: 직업적 요인(교사, 요리사, 간호사 등)
  • 비만: 복부 지방 증가로 인해 복압이 증가 → 하지 정맥으로의 역류 증가
  • 임신: 자궁의 커짐과 호르몬(특히 프로게스테론)의 영향으로 정맥 확장 및 복압 증가

4. 유전적 요인 및 가족력

  • 정맥류는 가족력 있는 경우 발생 위험이 최대 3~4배 증가합니다.
  • 정맥 벽의 구조적 취약성, 판막 이상, 혈류 역학적 변화 등이 유전될 수 있습니다.
  • 실제로 1차 가족(부모, 형제자매) 중 정맥류가 있으면, 발생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5. 호르몬 변화

  • **여성 호르몬(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은 정맥벽을 이완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 이로 인해 특히 임신기, 월경주기, 폐경 전후에 정맥 확장 위험이 증가합니다.

관련 예:

  • 임신 중: 자궁이 정맥을 압박하고, 호르몬 변화로 정맥 벽이 늘어남
  • 경구 피임약 또는 호르몬대체요법: 혈관에 영향을 미치는 호르몬 포함

6. 생활 습관 및 환경적 요인

  • 운동 부족: 종아리 근육은 ‘제2의 심장’이라 불릴 만큼 정맥 혈류에 큰 역할.
    운동 부족은 근육 펌프 작용 저하 → 혈류 정체 → 정맥류 악화
  • 과체중/비만: 체중 증가 → 하지 정맥 압력 증가
  • 하이힐 및 꽉 끼는 옷: 발목 움직임 저하 → 근육 펌프 기능 저하 → 정맥순환 악화
  • 흡연: 혈관 건강 저하, 염증 촉진

7. 임신 및 출산

  • 임신 중:
    • 혈액량 증가 → 혈관 확장
    • 호르몬 영향으로 정맥 벽 이완
    • 자궁의 커짐 → 하대정맥 압박 → 하지정맥 압력 상승
  • 출산 후에도 회복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다산 여성에서 정맥류 발생률이 높습니다.

8. 외상 및 수술 후 변화

  • 하지 또는 골반 부위 수술 후에 정맥 손상이나 정맥 순환 이상이 생기면,
    대체혈류 경로로 대복재정맥에 부담이 증가하여 정맥류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 정맥 혈전증(DVT) 병력이 있는 경우에도, 표재정맥으로 혈류가 재조정되며 대복재정맥에 이상 발생 가능

9. 나이(고령)

  • 나이가 들수록 정맥류 유병률이 증가합니다.
  • 주요 기전은:
    • 정맥벽의 노화
    • 판막의 퇴행성 변화
    • 정맥혈의 역류 증가

10. 성별

  • 여성에서 더 흔하게 발생함.
  • 이는 호르몬 변화, 임신/출산, 피임약 복용, 연조직 구조 차이 등이 관련되어 있음.

11. 심부정맥 이상이나 정맥압 전이

  • 심부정맥의 폐쇄나 기능 저하로 인해 혈류가 표재정맥(특히 대복재정맥)으로 전이되어,
    해당 정맥이 비정상적으로 팽창하게 될 수 있음.

정리 요약

대복재정맥류는 단일 원인보다는 유전적 요인, 판막 이상, 정맥벽 약화, 압력 증가, 호르몬 변화, 생활 습관 등 다양한 요인이 상호작용하며 발생합니다.
가장 중요한 병태생리는 정맥 내 판막의 기능 부전으로 인한 혈류 역류와 정체이며, 이것이 반복되면 정맥이 확장되어 정맥류로 진행됩니다.


출처: 서울아산병원

4. 증상

1. 시각적·외관적 증상 (육안으로 보이는 변화)

  • 구불구불한 정맥 돌출
    • 피부 바로 아래에서 정맥이 푸르스름하거나 자주색으로 꼬불꼬불하게 튀어나온 형태로 보입니다.
    • 특히 허벅지 안쪽, 무릎 안쪽, 종아리 안쪽을 따라 선명하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정맥의 불규칙한 굵기
    • 일정하지 않고 불룩불룩 튀어나온 모습
    • 눌렀을 때 일시적으로 줄어들지만 다시 도드라짐
  • 피부 밑에서 지렁이처럼 만져지는 느낌
    • 손으로 만졌을 때 말랑말랑하거나 약간 단단한 덩어리처럼 느껴지며, 표피 바로 아래에 있음

2. 자각 증상 (환자가 느끼는 불편감)

2-1. 통증 및 불편감

  • 무거움(중압감)
    • 종일 서 있거나 활동 후 다리가 무겁게 느껴짐 ("다리가 땡긴다", "걸을 때 쿡쿡 쑤신다" 등 표현)
  • 당김, 뻣뻣함
    • 종아리나 허벅지 부위에 근육이 당겨지는 느낌 혹은 찌릿한 불편감
  • 타는 듯한 통증(작열감, burning pain)
    • 정맥류가 심해질수록 정맥 주위에 염증이 발생해 피부가 뜨겁고 화끈거리는 통증 유발
  • 간헐적 통증
    • 쉬면 나아지고 오래 서거나 걷거나 밤이 되면 심해지는 양상

2-2. 쥐나는 증상(야간 근육경련, nocturnal cramps)

  • 특히 밤이나 새벽종아리 근육이 경련처럼 수축되며 쥐가 나는 현상이 자주 발생

2-3. 저림, 찌릿함, 감각 이상

  • 피부 감각 둔화 또는 간헐적 저림/찌릿함
  • 말초신경 압박 또는 혈류저하와 관련

2-4. 가려움증(pruritus)

  • 피부 표면에 혈류정체와 경미한 염증이 생기며 지속적인 가려움증을 유발
  • 자극에 민감해져 긁으면 피부염, 습진, 색소침착으로 진행될 수 있음

3. 부종(붓기) 증상

  • 발목 또는 종아리 부위의 국소적 부종
    • 낮 동안 점차 심해지고, 아침에는 감소하는 양상을 보임
    • 혈류 정체에 의한 정맥성 부종이므로 보통은 한쪽 다리에서 먼저 나타남
  • 신발이나 양말 자국이 깊게 남음
    • 혈류 및 림프 순환 저하로 부종이 지속될 경우 나타나는 흔한 외관적 소견

4. 피부 변화 관련 증상 (진행된 경우)

  • 피부 착색(pigmentation)
    • 다리 피부가 갈색 또는 자줏빛으로 변색되며, 표피 아래에 철분 침착(헤모시데린 축적)이 일어남
  • 정맥 피부염(stasis dermatitis)
    • 지속적인 혈류 정체로 인해 피부가 붉어지고, 가렵고, 건조하거나 습진처럼 벗겨지는 증상
  • 피부 위축(atrophie blanche)
    • 피부가 얇아지고 반짝이며 하얗고 반흔처럼 보이는 부위가 나타날 수 있음
  • 정맥 궤양
    • 진행된 상태에서는 특히 발목 내측에 통증성 궤양이 발생할 수 있음

5. 활동 및 자세 변화에 따른 증상 차이

  • 장시간 서 있을 때 증상 악화
    • 중력에 의해 다리 쪽 혈류가 고이면서 부종, 통증, 무거움, 피로감 증가
  • 다리를 올렸을 때 호전
    • 누운 상태에서 다리를 심장보다 높게 올리면 정맥 순환이 좋아져 증상 완화
  • 운동 후 통증 악화 또는 개선
    • 초기에는 가벼운 걷기 운동 후 호전되지만, 심한 경우에는 활동 후 통증 및 무거움 심화

6. 증상의 편측성 또는 양측성

  • 일반적으로 한쪽 다리에서 먼저 발생하나,
    원인(예: 유전적, 호르몬성, 비만 등)에 따라 양측성 정맥류도 흔히 발생

7. 미용 및 심리적 증상

  • 외관상 돌출된 혈관으로 인해 옷차림 제한, 대인 기피, 스트레스 유발
  • 젊은 여성의 경우 심리적 위축과 우울감으로 연결될 수 있음

8. 증상의 진행 경향

  • 초기: 눈에 잘 띄지 않으며 단순한 피로감이나 무거움 정도
  • 중기: 외관상 돌출, 통증, 야간 쥐, 부종, 감각 이상
  • 말기: 피부염, 색소침착, 궤양, 만성정맥부전(CVI)

정리 요약

대복재정맥류의 증상은 단순히 정맥이 눈에 띄게 보이는 것을 넘어서,
다리 통증, 무거움, 야간 쥐, 감각 이상, 부종, 피부 변화, 심리적 스트레스까지 광범위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증상은 일상생활, 자세, 계절, 호르몬 변화 등에 따라 달라지며,
방치하면 만성 정맥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조기 발견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5. 진단

대복재정맥류는 단순한 외형 변화가 아닌, 정맥의 해부학적 구조 이상과 기능적 장애를 동반한 질환이기 때문에, 진단 시 다음의 절차들이 포괄적이고 단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1. 병력 청취 (Medical History Taking)

정확한 진단을 위해 환자의 주관적인 증상 및 위험인자 파악이 중요합니다.

주요 확인 항목:

  • 언제부터 다리 통증, 피로감, 부종 등이 시작되었는가?
  • 증상이 **어느 쪽(좌/우)**에 더 심한가?
  • 오랫동안 서 있거나 앉아 있을 때 증상 악화 여부
  • 가족 중 정맥류 병력이 있는가?
  • 임신/출산 경험 또는 호르몬 치료(피임약, HRT) 복용 여부
  • 직업적 요인 (장시간 서 있는 직업 여부)
  • 증상이 밤에 더 심하거나 쥐가 자주 나는가?
  • 이전에 하지 수술, 외상, 혈전증(DVT) 병력이 있는가?

2. 이학적 검사 (Physical Examination)

2-1. 시진 (Inspection)

  • 환자를 서 있는 자세로 검사 (중력 작용 하에 정맥류가 더 뚜렷해짐)
  • 정맥 돌출 부위 확인: 허벅지 안쪽, 무릎 안쪽, 종아리 내측 등
  • 피부 변화 유무: 색소침착, 습진, 궤양
  • 정맥 경로 따라 꼬불꼬불한 형태의 혈관 돌출 여부

2-2. 촉진 (Palpation)

  • 정맥이 만져지는지 확인 (지렁이 같은 촉감)
  • 누르면 일시적으로 꺼졌다가 다시 부풀어오르는지 확인
  • 압통 여부, 열감 여부 (염증성 정맥염 여부 감별)

2-3. 기능 검사

  • 트렌델렌버그 검사(Trendelenburg Test)
    대복재정맥과 교통정맥의 역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고전적인 검사법
    • 다리를 들어 혈액을 빼낸 후 정맥류 상부를 압박하고 일어나게 함
    • 압박을 해제했을 때 혈액이 빠르게 내려오면 역류가 있는 것
  • 퍼터스 검사(Perthes Test)
    깊은 정맥의 기능 확인
    • 발목에 압박을 하고 걷게 한 후, 표재정맥이 꺼지지 않으면 심부정맥 기능 저하 가능성 있음

3. 도플러 초음파 검사 (Color Doppler Ultrasonography)

가장 핵심적이고 표준적인 진단 방법

검사 목적:

  • 정맥의 구조적 변화 확인 (확장, 꼬임, 판막 위치 등)
  • 혈류 방향 확인 (정상은 위쪽으로 흐름, 역류 시 아래 방향)
  • 판막 기능 평가 (역류 시간 > 0.5초면 기능 부전으로 간주)
  • 대복재정맥의 직경 측정 (3~4mm 이상이면 병적 확장 가능성)
  • 교통정맥(Perforating vein) 이상 유무 확인
  • 심부정맥의 개통성 및 혈전 유무 확인 (심부정맥 혈전증 감별)

검사 시 고려사항:

  • 환자는 서거나 반좌위 자세에서 검사 (중력 작용 상태)
  • 발목을 눌러 혈류를 유도한 후, 리플럭스(역류) 유무 측정
  • 동측과 비교하여 비대칭성 여부 확인

4. 추가 영상 검사 (필요 시)

대부분의 경우 도플러 초음파로 충분하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추가 영상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4-1. CT 정맥조영술 (CT Venography)

  • 표재정맥뿐 아니라 심부정맥, 골반정맥까지 광범위한 평가 필요 시 사용
  • 수술 전 해부학적 구조 파악이 어려운 경우

4-2. MR 정맥조영술 (MRV, Magnetic Resonance Venography)

  • 방사선 노출 없이 정맥 상태를 파악 가능
  • 특히 복부/골반내 압박증후군(May-Thurner syndrome) 같은 드문 질환 감별에 유용

4-3. 광학혈류 촬영 검사 (Photoplethysmography, PPG)

  • 정맥혈의 배출 및 충전 시간 측정
  • 간접적으로 정맥기능을 수치화하여 판단 가능

5. 정맥기능 분류 (CEAP 분류 체계)

진단 시 환자의 병기(stage)와 치료 방침을 세우는 데 도움됨.

CEAP의 구성 요소:

  • C (Clinical): 외관상 변화 (C0 ~ C6)
  • E (Etiology): 원인 (선천성, 후천성 등)
  • A (Anatomy): 어느 정맥에 병변이 있는지 (GSV, SSV, Perforator 등)
  • P (Pathophysiology): 역류 vs 폐쇄 여부

예:
C3EpAsPr → 부종이 있으며, 후천성, 대복재정맥 병변, 역류 소견

6. 감별 진단 (Differential Diagnosis)

다음 질환들과 혼동되기 때문에 반드시 구분 필요:

  • 심부정맥혈전증(DVT)
  • 림프부종
  • 하지동맥질환 (동맥박동 이상 동반 여부)
  • 근막 증후군
  • 만성 피부염 또는 정맥성 궤양
  • 하지 신경병증(허리디스크, 말초신경병 등)

정리 요약

대복재정맥류의 진단은 단순히 보이는 정맥류만을 보는 것이 아니라,
해부학적 구조, 정맥판막의 기능, 혈류 방향, 부위별 병변 정도 등을 초음파 및 이학적 검사로 입체적으로 파악해야 합니다.

가장 중요한 검사는 도플러 초음파 검사이며, 이를 바탕으로 치료 계획(보존 vs 수술)을 세우게 됩니다.


6. 치료 및 수술 방법

I. 비수술적 치료 (보존적 치료)

1. 압박 요법 (Compression therapy)

목적:

  • 정맥 내 압력 감소
  • 혈류 개선
  • 증상 완화 (통증, 무거움, 부종)

방법:

  • 의료용 압박 스타킹 착용
    • 일반적으로 발목에서 가장 높은 압력 → 종아리나 허벅지 방향으로 점점 낮아지는 구조
    • Class I (1520 mmHg), Class II (2030 mmHg) 등으로 구분
    • 보통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착용, 자기 전 제거

주의사항:

  • 잘 맞는 압박 스타킹 선택 중요
  • 동맥질환 있는 경우에는 착용 금지될 수 있음

효과:

  • 정맥류의 진행을 늦추고 증상 완화에 효과적
  • 하지만 정맥류 자체를 제거할 수는 없음

2. 약물 치료 (Pharmacotherapy)

목적:

  • 정맥벽 강화
  • 모세혈관 안정화
  • 미세순환 개선 및 염증 감소

대표 약물:

  • 디오스민(Diosmin), 헤스페리딘(Hesperidin): 플라보노이드 계열
  • 트록세루틴(Troxerutin): 정맥 보호제
  • 루틴(Rutin): 항산화 작용
  • 항염증제(필요 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SAIDs)

효과:

  • 통증, 부종, 야간 쥐 완화 등 일부 증상에 효과
  • 단독 치료로는 정맥류를 없앨 수 없음

3. 생활습관 교정

  • 장시간 서 있는 자세 피하기
  • 다리를 자주 올려주기 (심장보다 높게)
  • 걷기 운동 등으로 종아리 근육 펌프 활성화
  • 체중 감량
  • 꽉 끼는 옷, 하이힐 피하기
  • 흡연과 과도한 음주 자제

II. 수술적 및 시술적 치료

1. 고식적 수술 (전통적 수술)

고전적 발거술 (Stripping surgery)

내용:

  • 대복재정맥을 사타구니(서혜부)에서 결찰하고, 정맥 전체 또는 일부를 피부 절개 후 제거

절차:

  • 전신 또는 척추 마취 후
  • 대복재정맥 시작부(사타구니)를 결찰
  • 정맥을 금속 와이어로 끼워 빼내는 방식 (Stripping)

장점:

  • 넓고 심한 정맥류에 확실한 제거 가능

단점:

  • 회복 기간 길고, 멍, 감각 이상 등의 합병증 가능
  • 입원이 필요할 수 있음

2. 최소침습 시술 (비절개 또는 부분절개 시술)

고주파 열치료술 (RFA: Radiofrequency Ablation)

내용:

  • 정맥 내부에 카테터를 삽입한 뒤, 고주파 열로 정맥벽을 가열하여 폐쇄

장점:

  • 절개 없이 시술
  • 국소 마취 가능
  • 빠른 회복, 통증 적음
  • 입원이 거의 필요 없음

단점:

  • 비용 부담 가능
  • 아주 굵거나 심한 정맥류에는 제한적일 수 있음

레이저 정맥 폐쇄술 (EVLA 또는 EVLT: Endovenous Laser Ablation/Therapy)

내용:

  • 레이저 광선을 이용해 정맥 내벽을 태워 폐쇄

장점 및 단점:

  • RFA와 유사
  • 정맥의 직경이 더 큰 경우에도 적용 가능
  • 드물게 통증이나 색소침착 발생 가능

정맥경화요법 (Sclerotherapy)

내용:

  • 정맥 내에 경화제를 주입하여 혈관을 ‘붙여버리는’ 치료
  • 혈관이 폐쇄되며 자연스럽게 흡수됨

적응증:

  • 작은 정맥류 또는 재발된 정맥류
  • 주사 치료로 간단하게 시행 가능

종류:

  • 액상 경화제 (소정맥류)
  • 폼 형태 경화제 (중등도 표재정맥류)

단점:

  • 반복 치료 필요할 수 있음
  • 드물게 색소침착, 정맥염 등의 부작용

베나실(VenaSeal: 생체접착제 시술)

내용:

  • 대복재정맥 내에 특수 생체접착제를 주입하여 영구적으로 폐쇄
  • 열이나 마취 필요 없음

장점:

  • 통증과 시술 후 불편감 매우 적음
  • 즉시 일상 복귀 가능
  • 압박 스타킹 착용 불필요

단점:

  • 고비용
  • 일부 알레르기 반응 가능

III. 치료 선택 기준 및 고려사항

  • 정맥의 직경 및 길이
    → 굵고 긴 정맥: EVLA, RFA, 수술
    → 가늘고 국소적: 경화요법, 베나실
  • 재발성 여부
    → 재수술 vs 비열 치료 병행 고려
  • 환자의 전신 상태, 동반 질환, 연령
    → 고령자, 출혈성 질환자에겐 최소침습 시술이 우선
  • 미용적 목적 vs 기능적 문제 여부
    → 증상이 없다면 경과 관찰도 가능

IV. 수술 후 관리 및 예후

  • 수술 후 압박 스타킹 1~2주 착용 권장 (레이저/고주파 포함)
  • 걷기 운동 권장 (정맥 혈류 촉진)
  • 격한 운동, 무거운 물건 들기는 2~3주 피하기
  • 시술 후 대부분 1~2일 내 일상 복귀 가능
  • 정맥류 제거 부위에 일시적 멍이나 압통 가능

예후:

  • 대부분의 경우 증상 완화 및 재발률 감소
  • 재발률: 고전적 수술은 510년 내 1030% 정도 보고됨
  • 정기적 추적 초음파 검사로 재발 조기 발견 필요

요약

  • 비수술적 치료: 압박 요법, 약물, 생활습관 교정 (증상 완화 목적)
  • 수술 및 시술:
    • 고전적 정맥 발거술 (근본적 제거)
    • 레이저, 고주파, 베나실 등 최소침습적 정맥 폐쇄술
    • 경화요법 (작은 정맥류 또는 보조적 시술)

각 치료법은 정맥류의 정도, 위치, 환자 상태에 따라 개별적으로 선택되어야 합니다.
필요하시면 치료 방법 간 비교표, 또는 치료 알고리즘도 도와드릴 수 있습니다.


7. 예후와 관리방법

 

I. 예후 (Prognosis)

1. 전반적인 예후

  • 적절한 치료(특히 레이저, 고주파, 수술 등) 후 대부분의 환자에서 증상이 현저히 개선되고, 삶의 질이 향상됩니다.
  • 하지만 질병의 만성적 특성, 정맥판막 손상 등의 요인 때문에 재발 위험은 항상 존재합니다.
  • 치료하지 않을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정맥류는 진행성, 즉 점차 심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2. 치료 방식에 따른 예후 차이

치료 방법 증상 개선률 재발률(5~10년 기준) 회복 속도 흉터/미용

고전적 수술 (Stripping) 높음 (80~90%) 15~30% 중간 절개 흉터 있음
레이저 시술 (EVLA) 매우 높음 (90~95%) 5~10% 빠름 흉터 거의 없음
고주파 시술 (RFA) 매우 높음 (90~95%) 5~10% 빠름 흉터 거의 없음
베나실 (접착제) 높음 (90% 이상) 5~10% 매우 빠름 흉터 없음
경화요법 중간 (60~80%) 20~50% (반복 필요) 빠름 흉터 없음

예후는 치료 방법 외에도 환자의 나이, 생활 습관, 유전적 요인, 체중, 직업 등과 밀접하게 연관

3. 재발 요인

  • 교통정맥(perforator vein) 또는 다른 표재정맥의 역류 미진단
  • 수술 또는 시술 부위 이외의 정맥에서 새롭게 발생
  • 비만, 임신, 직업 등 원인요인이 지속될 때
  • 부적절한 수술 기법 또는 미완전한 제거
  • 생활습관 교정 실패

II. 수술 후 관리 방법 (Postoperative Management)

1. 즉각적인 회복기 관리 (1~2주)

  • 압박 스타킹 착용
    • 대부분의 시술/수술 후 1~2주간 착용 권장
    • 혈류 순환 개선 및 혈전 예방 목적
  • 통증 관리
    • 경증의 통증, 멍, 불쾌감 등은 일반적이며, 필요 시 진통제 복용 가능
    • 통증이 지속되거나 심할 경우 의료진과 상담
  • 걷기 운동 권장
    • 가능한 빨리 걷기 시작하는 것이 중요
    • 정맥혈의 정체를 막고 혈전 예방
  • 무리한 활동 제한
    • 무거운 물건 들기, 격한 운동은 2~3주간 피함
    • 특히 복압을 증가시키는 행동은 피해야 함
  • 상처 부위 관리
    • 절개나 주사 부위의 청결 유지
    • 감염, 삼출물, 발열 발생 시 즉시 병원 방문

2. 중기 관리 (1개월 ~ 3개월)

  • 외래 추적 검사
    • 시술 후 1~2주 이내 초음파로 정맥 폐쇄 여부 확인
    • 필요 시 1~3개월 후 재검사
  • 압박 스타킹 계속 착용 여부 결정
    • 증상 지속 시 착용 연장
    • 보통 1~2개월 이내 중단 가능
  • 생활습관 변화 유지
    • 장시간 서 있는 자세 피하기
    • 다리 올려 쉬는 습관 지속
    • 걷기 운동 주 3~5회 이상 유지

III. 장기적 관리 방법 (재발 예방 및 유지 관리)

1. 정기적인 추적 관찰

  • 6개월~1년 간격으로 도플러 초음파 검사 권장
  • 재발 여부, 다른 정맥계 이상 확인

2. 생활습관 관리

  • 체중 조절
    • 비만은 복압 상승과 정맥류 재발의 주요 요인
    • 정상 체중 유지 필수
  •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
    • 특히 걷기, 수영, 자전거 타기 등이 정맥순환에 도움
    • 종아리 근육 강화로 정맥펌프 기능 증진
  • 장시간 서기/앉기 피하기
    • 필요 시 중간에 자주 일어나 다리 움직이기
    • 발끝 들기, 다리 털기 등의 간단한 스트레칭 권장
  • 다리 올리기 습관화
    • 하루 2~3회, 15분 이상 다리를 심장보다 높게 유지
  • 금연 및 절주
    • 흡연은 혈관 내피 기능 저하 및 염증 증가

3. 직업적 위험요소 조절

  • 서서 일하는 직업(교사, 요리사, 간호사 등)
    • 중간중간 휴식, 의자 사용, 다리 움직이기 필수
    • 가능하면 업무 중에도 압박 스타킹 착용 고려
  • 앉아서 오래 일하는 직업(사무직, 운전 등)
    • 1시간마다 일어나 걷기 또는 발목 돌리기

4. 여성의 경우 특별 관리 필요

  • 임신 계획 중인 경우
    • 정맥류 병력 있거나 치료 후라면, 임신 전 전문의 상담
    • 임신 중에는 압박 스타킹 착용 및 꾸준한 걷기 권장
  • 피임약 복용 시 주의
    • 에스트로겐 성분이 정맥 확장 유도 가능
    • 혈전 위험도 증가 가능하므로 전문가와 상의 후 복용 결정

IV. 재발 시 대처

  • 증상이 재발해도 대부분은 초기 증상부터 다시 시작되므로 빠른 대응 가능
  • 재발 시 재시술(레이저, 경화요법 등)로 충분히 조절 가능
  • 과거보다 재시술의 효과도 매우 높아진 상태

정리 요약

항목 내용

예후 치료 성공률 높음, 재발 가능성 있음 (5~30%)
재발 요인 생활습관, 교통정맥, 비만, 임신, 수술 범위 미흡 등
단기 관리 압박 스타킹, 통증 조절, 상처 관리, 걷기 운동
장기 관리 체중 조절, 운동, 자세 교정, 금연, 정기 초음파 검사
재발 시 대처 빠른 진단과 시술로 조기 조절 가능

 

 

 

당뇨병성 동맥 폐쇄증(Diabetic Arterial Occlusive Disease)이란? 특징,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수술방법

 

당뇨병성 동맥 폐쇄증(Diabetic Arterial Occlusive Disease)이란? 특징,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수술방

당뇨병성 동맥 폐쇄증은 당뇨병으로 인해 말초 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질환으로, 혈액순환 장애를 일으켜 사지(특히 다리)에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 병은 말초동맥질환(PAD,

bwang2.tistory.com

 

종양성 경화증(Tuberous Sclerosis Complex, TSC)이란? 특징,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수술방법

 

종양성 경화증(Tuberous Sclerosis Complex, TSC)이란? 특징,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수술방법

종양성 경화증(Tuberous Sclerosis Complex, TSC)은 여러 장기에 양성 종양(혹은 섬유종)을 형성하는 유전성 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뇌, 피부, 심장, 신장, 폐 등 여러 장기에서 종양이나 이상 조직이 발생

bwang2.tistory.com

 

하대동맥 내 박리(Abdominal Aortic Dissection, AAD)이란? 특징, 원인, 증상, 치료 및 수술방법

 

하대동맥 내 박리(Abdominal Aortic Dissection, AAD)이란? 특징, 원인, 증상, 치료 및 수술방법

**하대동맥 내 박리(Abdominal Aortic Dissection, AAD)**는 하대동맥의 내벽에 갈라짐이 발생하는 상태로, 혈액이 동맥 내벽을 따라 흐르면서 두 층의 벽 사이로 박리가 일어나는 질환입니다. 이는 매우

bwang2.tistory.com

 

경골-발 동맥 질환 (Tibial-Peroneal Arterial Disease)이란? 특징, 원인, 증상, 치료 및 수술방법

 

경골-발 동맥 질환 (Tibial-Peroneal Arterial Disease)이란? 특징, 원인, 증상, 치료 및 수술방법

**경골-발 동맥 질환 (Tibial-Peroneal Arterial Disease)**은 경골 동맥과 비골 동맥에 발생하는 동맥 질환을 의미합니다. 이 질환은 말초동맥질환(PAD)의 한 형태로, 말초 혈관의 협착이나 폐쇄로 인해 혈

bwang2.tistory.com

 

대장암에 의한 색전증이란? 특징, 원인, 증상, 치료 및 수술방법

 

대장암에 의한 색전증이란? 특징, 원인, 증상, 치료 및 수술방법

대장암에 의한 색전증은 대장암으로 인해 발생하는 합병증 중 하나로, 대장암에서 발생한 종양 세포가 혈류를 통해 다른 부위로 퍼져 혈관을 막거나 혈액 흐름을 방해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

bwang2.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