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환계통질환

조기흥분 증후군(WPW 증후군=울프=파킨슨=화이트 증후군)란? 종류, 원인, 증상, 치료 및 수술 방법

질병연구소 2025. 2. 4. 15:01
반응형

 

WPW 증후군(Wolff-Parkinson-White Syndrome)은 심장의 전기적 신호가 비정상적으로 전달되는 질환으로, 심장 박동에 이상이 생겨 심장 부정맥을 일으킬 수 있는 상태입니다. 이 증후군은 심장에 비정상적인 전도 경로가 생겨, 심장이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뛰는 상태인 빈맥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제 WPW 증후군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WPW 증후군이란?

WPW 증후군은 심장에 비정상적인 전도 경로(부가적인 전도로)가 형성되어, 심장의 전기 신호가 정상적인 경로 외에 다른 경로를 통해 전달되면서 빠른 심박수와 같은 심장 부정맥을 초래하는 상태입니다. 이 추가된 전도 경로는 애프터노드 또는 Kent Bundle이라고 불리며, 이로 인해 심장의 전기적 신호가 비정상적으로 빨리 전달됩니다.


종류

 

WPW 증후군(Wolff-Parkinson-White syndrome)의 종류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WPW 증후군은 주로 전도 경로의 위치와 형태에 따라 구분할 수 있습니다. WPW 증후군의 종류를 이해하려면 전도 경로가 심장의 어느 부위에 위치하는지, 그리고 이 경로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야 합니다.

 

1. A형 WPW 증후군 (좌측 경로)

  • 설명: A형 WPW 증후군은 비정상적인 전도 경로가 심장의 왼쪽 심실로 가는 부위에 존재하는 경우입니다. 이 경로는 일반적으로 왼쪽 방실 전도(AV node)와 연결되어 있으며, 심장의 좌측을 우회하는 전도 경로를 통해 신호가 전달됩니다.
  • 특징: A형은 일반적으로 급성 빈맥을 일으킬 때 증상이 심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경로가 좌측에 위치한다는 점에서, 전도 경로의 위치와 관련된 다른 부정맥이 발생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2. B형 WPW 증후군 (우측 경로)

  • 설명: B형 WPW 증후군은 비정상적인 전도 경로가 심장의 오른쪽 심실로 가는 부위에 존재하는 경우입니다. 이 경로는 오른쪽 방실 전도(AV node)와 연결되어 있으며, 오른쪽 심방에서 신호가 우회되어 전달됩니다.
  • 특징: B형은 좌측 경로보다 증상이 덜 심각할 수 있지만, 빈맥이나 급성 부정맥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오른쪽 경로가 관여하기 때문에, 이 부정맥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더 세밀한 진단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3. 이형 WPW 증후군 (이중 경로)

  • 설명: 이형 WPW 증후군은 두 개 이상의 비정상적인 전도 경로가 존재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즉, 심장의 두 가지 다른 부위에서 전기적 신호가 비정상적인 경로로 전달되어 부정맥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특징: 이형 WPW는 전도 경로가 여러 개 존재하므로 부정맥이 더 자주 발생하거나, 그 빈도가 불규칙할 수 있습니다. 두 개 이상의 전도 경로가 있기 때문에 치료가 더 복잡할 수 있습니다.

 

4. 증상에 따른 분류

WPW 증후군은 전도 경로의 위치에 따라 분류하는 것 외에도, 그 증상의 심각도나 발병 방식에 따라 다른 분류를 할 수 있습니다. 주요한 증상은 심박수의 급격한 증가인 빈맥과 관련된 문제입니다. 하지만 빈맥의 발생 빈도와 증상의 강도는 사람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 증상이 없는 WPW 증후군: 일부 환자는 전도 경로가 있더라도 증상이 전혀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무증상 WPW 증후군이라 부르며, 이들은 우연히 심전도 검사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간헐적 WPW 증후군: 일부 환자는 심장 박동이 매우 빨라지는 빈맥을 간헐적으로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들은 증상이 발작적으로 나타나며, 일부 사람은 증상이 시작되면 일시적으로 사라지기도 합니다.
  • 지속적인 WPW 증후군: 드물게 증상이 계속해서 지속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지속적인 빈맥이나 심장 부정맥이 자주 발생할 수 있으며, 치료가 필요합니다.

 

5. 심전도 상의 구분

WPW 증후군의 심전도(ECG)에서 나타나는 주요 특징은 δ파(델타파)입니다. 이는 정상적인 QRS 복합파 이전에 미세한 상승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이는 비정상적인 전도 경로로 인해 심장이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뛰면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 δ파의 위치와 모양에 따라 WPW 증후군의 종류가 구분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δ파의 크기와 모양은 전도 경로가 심장의 어느 부위에 있는지, 경로의 형태가 어떻게 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원인

 

WPW 증후군(Wolff-Parkinson-White syndrome)의 원인은 대부분 선천적(태어날 때부터 존재하는)이며, 드물게 후천적인 원인으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WPW 증후군은 심장에 비정상적인 전도 경로가 존재하게 되며, 이 경로가 심장의 정상적인 전기적 신호 전달 시스템을 방해하여 부정맥을 유발하게 됩니다. WPW 증후군의 원인을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선천적 원인 (가장 일반적인 원인)

WPW 증후군의 대부분은 선천적(타고난) 원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는 심장 발달 초기 단계에서 발생한 이상으로, 비정상적인 전도 경로(애프터노드 또는 Kent Bundle)가 태어날 때부터 존재하는 경우입니다.

  • 비정상적인 전도 경로의 형성: 심장이 형성되는 동안, 정상적인 전기적 신호는 **방실결절(AV node)**을 통해 전달되며, 이 신호는 심장 근육에 규칙적으로 수축을 유도합니다. 그러나 WPW 증후군이 있을 경우, 심장의 다른 부위에 비정상적인 전도 경로가 형성되어 전기적 신호가 방실결절 외부를 통해 비정상적으로 전달됩니다. 이 경로는 정상적인 신호 전달 시스템을 우회하여 신호가 지나치게 빨리 전달되거나, 심장이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뛰게 만듭니다.
  • 유전적 요인: WPW 증후군은 종종 가족 내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WPW 증후군이 유전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그러나 특정 유전자가 WPW 증후군과 관련이 있다는 것은 아직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가족력에 따라 WPW 증후군을 가진 사람이 많을 수 있습니다.

 

2. 후천적 원인 (드물게 발생)

WPW 증후군은 주로 선천적으로 발생하지만, 일부 후천적인 요인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후천적 원인으로는 심장 질환이나 외부 자극으로 인해 전도 경로에 변형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 경우는 선천적인 WPW 증후군보다는 상대적으로 드뭅니다.

  • 심장 질환: 일부 심장 질환, 예를 들어 심장 발작, 심근염(심장 근육의 염증), 심장 판막 질환 등이 WPW 증후군의 발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질환으로 인해 심장 구조나 기능에 변화가 생기면 전도 경로가 영향을 받거나, 새로운 전도 경로가 형성될 수 있습니다.
  • 심장 수술 후 변화: 과거에 심장 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드물게 WPW 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심장 수술 후, 심장 전도 경로가 달라지거나 변형되어 WPW 증후군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약물: 일부 약물은 심장의 전기적 신호 전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약물에 의한 심장 질환이 발생하거나 심장 리듬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새로운 전도 경로가 형성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약물로 인한 WPW 증후군은 매우 드문 사례입니다.

 

3. 기타 원인

  • 심장 전도 시스템의 발달 이상: WPW 증후군은 심장이 발달할 때 전도 시스템이 비정상적으로 형성되는 문제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심장의 정상적인 전기 신호가 방실결절을 거쳐 전달되지 않고, 다른 경로를 통해 전달되어 비정상적인 심장 박동을 초래합니다.
  • 전도 경로의 과잉 성장: 심장 내부의 비정상적인 전도 경로가 과잉 성장하거나 발달되면, 신호가 너무 빠르게 전파되어 심장 빈맥(tachycardia)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4. 심장 전도 경로의 전형적인 위치

WPW 증후군을 일으키는 비정상적인 전도 경로는 심장 우측(오른쪽) 또는 좌측(왼쪽)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로가 전기 신호를 비정상적으로 전달하게 됩니다. 이러한 경로의 위치는 주로 선천적으로 결정되며, 심장 전기 시스템의 발달 과정에서 문제가 생기면 전도 경로가 우측 또는 좌측 심방과 심실을 연결하는 비정상적인 경로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5. 미세한 전도 경로의 이상

WPW 증후군의 원인 중 하나는 미세한 전도 경로의 형성입니다. 이 경로는 전기가 심장의 정상적인 경로를 우회하게 만들어 빠르게 전기 신호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미세한 전도 경로가 잘못된 위치에서 형성되면, 심장 부정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증상

 

WPW 증후군(Wolff-Parkinson-White syndrome)의 증상은 주로 심박수의 급격한 증가인 빈맥(tachycardia)과 관련이 있으며, 이로 인해 다양한 신체적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WPW 증후군은 심장의 비정상적인 전도 경로로 인해 심장의 전기 신호가 정상적인 경로를 우회하여 빠르게 전달되면서 발생하는 심장 부정맥이 주요 증상입니다.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증상들을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심장 두근거림 (Palpitations)

  • 설명: 심장이 매우 빠르게 뛰거나 불규칙하게 뛴다고 느껴지는 증상입니다. WPW 증후군에서 빈맥이 발생하면, 환자는 심장이 두근거리는 느낌을 강하게 경험할 수 있습니다.
  • 특징: 보통 갑작스럽게 발생하며, 빠르고 불규칙한 심장 박동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는 환자에게 매우 불편하고 불안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어지러움 (Dizziness) 또는 실신 (Syncope)

  • 설명: 심박수가 급격하게 증가하면 심장의 펌프 기능이 일시적으로 저하되어 혈액 순환이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뇌로 가는 혈류가 부족해져 어지러움이나 실신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특징: 실신은 종종 갑작스럽게 발생하며, 어지러움이 먼저 느껴진 후 실신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신은 심박수가 너무 빠르거나 불규칙해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호흡 곤란 (Shortness of Breath)

  • 설명: WPW 증후군으로 인해 심박수가 급격하게 증가하면 심장은 더 빨리 뛰면서 혈액을 충분히 펌프할 수 없게 됩니다. 이로 인해 혈액 순환에 어려움이 생기고, 산소 공급이 원활하지 않게 되어 호흡 곤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특징: 호흡이 곤란하거나 가빠지고, 일상적인 활동을 할 때도 숨이 차는 느낌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4. 가슴 통증 (Chest Pain)

  • 설명: WPW 증후군으로 인한 심박수 증가가 심장에 과도한 부담을 주면 가슴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심박수가 너무 빨라지면 심장이 충분히 산소를 공급받지 못해 가슴 통증이나 불편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 특징: 가슴의 통증은 주로 압박감이나 조이는 느낌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협심증(심장에 산소 공급이 부족한 상태)과 유사한 증상을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5. 피로감 (Fatigue)

  • 설명: 심박수의 증가로 인해 심장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면서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않게 됩니다. 이로 인해 체내 산소 공급이 부족해지면 피로감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 특징: 일상적인 활동을 해도 쉽게 피로를 느끼고, 몸이 무겁고 힘이 빠지는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심장이 빨리 뛰는 상태에서 체력이 급격히 소모되어 더욱 피곤할 수 있습니다.

 

6. 불규칙한 심장 박동 (Arrhythmia)

  • 설명: WPW 증후군에서는 심장이 빠르고 불규칙하게 뛰는 부정맥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심장의 전기 신호가 비정상적으로 전달되어 심박수가 너무 빨리 또는 불규칙하게 뛸 때 발생합니다.
  • 특징: 심장의 불규칙한 박동은 종종 빈맥(빠른 심박수)과 관련이 있으며, 때로는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과 같은 더 복잡한 부정맥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심장이 비효율적으로 펌프질하여 혈액 순환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7. 심박수의 급격한 변화

  • 설명: WPW 증후군 환자는 빈맥이 갑자기 시작되고, 이후 급격하게 정상적인 심박수로 돌아가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는 전도 경로의 비정상적인 신호 전달로 인해 심박수가 빠르게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특징: 갑작스러운 심박수의 증가나 감소가 자주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불안이나 혼란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 증상은 특히 심박수가 급격히 높아진 후, 다시 안정되면 가벼운 어지러움이나 불안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8. 불안감 (Anxiety)

  • 설명: 심장 박동이 빨라지거나 불규칙해지는 동안 불안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환자는 심장이 빨리 뛰거나 두근거리는 느낌에 대해 걱정하게 되어, 불안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 특징: 심장이 빨리 뛰면서 불안감이나 공포감을 느낄 수 있으며, 특히 심장 질환에 대한 걱정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9. 심전도에서 나타나는 특징

  • δ파: WPW 증후군에서 나타나는 주요 심전도 특징은 δ파(델타파)입니다. 이는 심전도에서 QRS 복합파가 비정상적으로 확장된 모습으로 나타나며, 비정상적인 전도 경로로 신호가 전달되기 때문에 생깁니다. 이 증상은 심장 박동이 빠르고 불규칙하게 나타날 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출처: 서울아산병원

치료 방법

 

WPW 증후군(Wolff-Parkinson-White syndrome)의 치료는 주로 빈맥(tachycardia)이나 심장 부정맥을 조절하는 데 중점을 두며, 환자의 증상, 증상의 빈도와 심각도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WPW 증후군의 치료는 약물 요법, 비약물적 치료, 수술적 치료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약물 치료

약물 치료는 주로 증상이 발생할 때 심박수를 조절하고, 부정맥을 예방하는 데 사용됩니다. 약물 치료는 급성기나 증상이 자주 발생하는 환자에게 사용됩니다.

(1) 항부정맥제 (Antiarrhythmic drugs)

  • 목적: 이 약물들은 WPW 증후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빈맥(빠른 심박수)을 조절하는 데 사용됩니다.
  • 종류
  • 아데노신 (Adenosine): 급성 빈맥 발작이 있을 때 정맥 주사로 투여합니다. 아데노신은 심박수를 빠르게 정상화하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주로 급성 치료에서 사용됩니다.
  • 디곡신 (Digoxin): 심장 전도 시스템에 영향을 미쳐 심박수를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빈맥을 조절하고, 심박수를 낮추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 베타 차단제 (Beta-blockers): 베타 차단제는 심박수를 낮추고 심장의 부담을 줄여주는 약물로, WPW 증후군 환자의 빈맥을 예방하고 조절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메토프롤롤 (Metoprolol)**이나 아테놀롤 (Atenolol) 등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칼슘 채널 차단제 (Calcium channel blockers): 비로틸(Verapamil)이나 딜티아젬(Diltiazem)은 심박수를 조절하고, 빈맥의 빈도와 강도를 낮추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2) 항응고제 (Anticoagulants)

  • WPW 증후군 환자가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과 같은 심박수 불규칙이 발생할 경우, 혈전이 형성될 위험이 커질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항응고제(예: 와르파린, 다비가트란) 사용이 고려될 수 있습니다. 항응고제는 혈액의 응고를 막아 혈전이 형성되는 것을 예방합니다.

 

2. 비약물적 치료

약물 치료 외에도 WPW 증후군의 치료는 심장 리듬을 조절하는 방법을 포함합니다. 이 방법은 약물로 조절이 어려운 환자에게 사용됩니다.

(1) 카테터 절제술 (Catheter Ablation)

  • 목적: WPW 증후군의 근본적인 치료 방법으로, 비정상적인 전도 경로를 영구적으로 제거하는 치료입니다. 카테터 절제술은 WPW 증후군의 주요 치료법입니다.
  • 절차
  1. 카테터 삽입: 작은 튜브인 카테터를 혈관을 통해 심장에 삽입합니다. 카테터는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고, 비정상적인 전도 경로가 어디에 있는지 확인합니다.
  2. 고주파 절제술: 비정상적인 전도 경로가 확인되면, 고주파 전류나 레이저를 이용해 그 경로를 파괴합니다. 이로 인해 비정상적인 신호 전달이 중단되며, 심박수가 정상으로 돌아옵니다.
  • 효과: 카테터 절제술은 고도 성공률을 자랑합니다. 치료 후 대부분의 환자들이 영구적인 증상 개선을 경험하며, WPW 증후군의 재발률이 매우 낮습니다.
  • 회복: 수술은 비교적 간단하고, 입원 기간이 짧고 회복이 빠르며, 대부분 1~2시간 내에 완료됩니다.

(2) 전기적 충격 (Cardioversion)

  • 목적: 급성 부정맥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심장이 정상적인 리듬을 되찾도록 외부 전기 충격을 사용합니다.
  • 방법: 심박수가 비정상적으로 빠른 경우, 전기적 심장 충격을 주어 심박수를 정상화합니다. 전기적 충격은 일반적으로 심방세동이나 심실빈맥 등의 급성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3. 수술적 치료

WPW 증후군의 근본적인 치료는 카테터 절제술이지만, 드물게 심장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수술은 일반적으로 다른 치료 방법이 효과가 없거나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경우에만 고려됩니다.

(1) 심장 수술 (Surgical Ablation)

  • 목적: 카테터 절제술이 실패하거나, 카테터를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심장 수술이 고려될 수 있습니다.
  • 방법: 수술을 통해 비정상적인 전도 경로를 직접적으로 절제하거나 파괴합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카테터 절제술보다 위험이 크고 회복 기간이 길기 때문에, 다른 방법이 실패한 경우에만 선택됩니다.

 

4. 라이프스타일 관리 및 예방

  • WPW 증후군이 있는 환자는 스트레스나 과도한 카페인 섭취, 과도한 운동 등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과도한 자극이 심박수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정기적인 심장 검사와 심전도 검사를 통해 증상이 없는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치료 선택 기준

치료 방법은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달라집니다:

  • 증상의 빈도와 심각도: 증상이 자주 발생하거나, 심각한 경우에는 카테터 절제술과 같은 근본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 급성 빈맥 발작: 급성 발작이 발생한 경우에는 아데노신을 사용하여 심박수를 빠르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 합병증 여부: 심방세동과 같은 합병증이 동반된 경우, 항응고제와 같은 추가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최종 결론

 

WPW 증후군은 심장 전도 경로의 비정상적인 형성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급성 부정맥과 관련된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 질환은 약물 치료, 카테터 절제술(근본적 치료), 전기적 충격 등을 통해 관리할 수 있으며, 가장 효과적인 치료는 카테터 절제술입니다. 이 방법은 비정상적인 전도 경로를 영구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환자의 재발률을 크게 낮출 수 있습니다. 증상이 빈번하거나 심각한 경우, 조기에 치료를 시작하고,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적절한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WPW 증후군은 치료가 잘 이루어지면 대부분 증상의 완화 또는 해소가 가능하며, 환자의 삶의 질을 크게 개선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