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환계통질환

경동맥 기형 (Carotid Artery Malformation)이란? 특징, 원인, 증상, 치료 및 수술방법

질병연구소 2025. 2. 11. 06:37
반응형

경동맥 기형 (Carotid Artery Malformation) 은 경동맥 혈관에 구조적인 이상이나 변형이 발생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경동맥은 뇌로 가는 중요한 혈관이기 때문에, 경동맥 기형이 발생하면 뇌로 가는 혈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형은 출혈, 혈류 차단 또는 혈전 형성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다음은 경동맥 기형에 대한 정의, 특징, 원인, 증상, 치료 및 수술 방법, 예후와 관리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합니다.

1. 정의

**경동맥 기형 (Carotid Artery Malformation)**은 경동맥에 발생한 비정상적인 혈관 구조형태적 이상을 의미합니다. 경동맥은 목에 위치한 중요한 혈관으로, 뇌로 가는 혈류를 공급합니다. 이 혈관에 기형이 발생하면 정상적인 혈류 흐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혈전, 동맥류, 출혈 또는 혈류 차단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경동맥 기형은 선천적(태어날 때부터 존재)일 수 있으며, 후천적(외상이나 질병에 의해 발생)으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선천적 기형은 혈관의 구조가 비정상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때 발생하며, 후천적 기형은 동맥경화, 고혈압 또는 감염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기형은 내경동맥(internal carotid artery)이나 외경동맥(external carotid artery)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혈관이 비정상적으로 확장되거나, 변형되거나, 동맥류혈관 확장증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이런 기형들은 혈액 흐름을 방해하고, 뇌로 가는 혈류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뇌졸중이나 신경학적 손상을 초래할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경동맥 기형은 치료가 필요한 상황이며, 수술적 개입이나 약물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출처: 국가건강정보포털

반응형

2. 특징

**경동맥 기형(Carotid Artery Malformation)**의 특징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경동맥 기형은 주로 경동맥 혈관의 비정상적인 구조나 형태적인 이상을 포함하며, 기형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 증상이나 위험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혈관의 비정상적인 형태

  • 혈관의 확장 (Aneurysm): 경동맥에 동맥류(Aneurysm)가 형성될 수 있습니다. 이는 혈관 벽이 약해져서 혈관이 비정상적으로 부풀어 오르는 현상입니다. 동맥류가 커지면 혈관이 파열될 위험이 커집니다.
  • 혈관의 비틀림 (Tortuosity): 경동맥이 비틀어지거나 구불구불한 형태를 취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비틀림은 정상적인 혈류 흐름을 방해하고, 혈전 형성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 혈관의 좁아짐 (Stenosis): 경동맥 기형은 혈관이 좁아지는 협착(stenosis) 현상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좁아진 혈관은 뇌로 가는 혈류를 감소시키고, 뇌졸중이나 뇌허혈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2. 혈전 형성 위험 증가

  • 느린 혈류정체된 혈류로 인해 혈관 내부에 혈전이 쉽게 형성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혈전은 혈관을 막거나 파열되면서 뇌졸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혈전은 혈관의 좁아짐이나 비틀림에 의해 더 쉽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출혈 및 파열 위험

  • 동맥류비정상적인 혈관 팽창은 혈관 파열의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경동맥 기형에 의해 발생한 동맥류파열되면 심각한 출혈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경동맥의 출혈은 특히 목과 뇌로 가는 중요한 혈류에 영향을 미쳐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4. 혈관의 비정상적 연결

  • 정맥동맥 사이에 비정상적인 연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동정맥루(Arteriovenous Fistula)**와 같은 기형에서는 동맥과 정맥이 비정상적으로 연결되어 혈액이 비정상적인 경로로 흐르게 됩니다. 이로 인해 혈액 순환이 방해되거나 고혈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신경학적 증상

  • 경동맥 기형이 심해지면 뇌로 가는 혈류가 부족해져 뇌졸중, 일시적인 뇌허혈, 뇌손상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다음과 같은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어지러움 또는 균형 장애
    • 두통 또는 시각 장애
    • 기절 또는 실신 (의식 상실)
    • 언어 장애 또는 마비
    • 한쪽 팔이나 다리의 마비

6. 비정상적인 혈류

  • 기형이 심하면 혈관의 정상적인 혈류 흐름이 방해받을 수 있습니다. 혈류가 느려지거나 차단되면 뇌로 가는 산소와 영양 공급이 감소하여 뇌기능 저하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7. 합병증 위험

  • 경동맥 기형은 다른 심혈관 질환이나 기저 질환과 연관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혈압, 동맥경화, 당뇨병 등이 경동맥 기형의 진행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기형이 악화되거나 출혈을 일으킬 위험이 커집니다.

3. 원인

경동맥 기형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주로 선천적인 요인후천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경동맥 기형의 주요 원인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한 내용입니다.

 

1. 선천적 원인 (Congenital Causes)

경동맥 기형은 태아 발달 시 혈관의 비정상적인 형성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원인은 유전적인 요인과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태아의 혈관이 제대로 발달하지 않거나 비정상적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혈관 발달의 이상: 태아가 발달하는 동안 경동맥의 혈관이 비정상적으로 형성되거나 분화가 잘못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혈관이 비틀리거나, 확장 또는 수축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유전적 질환: 일부 유전 질환이나 증후군은 혈관 발달에 영향을 미쳐 경동맥 기형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Ehlers-Danlos syndrome(엘러스-단로 증후군)과 같은 결합조직 질환은 혈관벽의 약화를 일으켜 기형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혈관 이형성(Vascular Malformations): 일부 사람들은 선천적으로 혈관 이형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경동맥이나 그 분지에 비정상적인 혈관 구조가 형성될 수 있습니다.

2. 후천적 원인 (Acquired Causes)

경동맥 기형은 후천적인 원인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후천적인 원인은 주로 외상, 감염, 만성 질환 등으로 인해 혈관의 구조나 기능이 변화하면서 발생합니다.

  • 외상 및 사고: 교통사고나 신체적 충격으로 인해 경동맥이 손상되거나 변형될 수 있습니다. 경동맥의 외상은 혈관에 비정상적인 팽창이나 찢어짐을 초래할 수 있으며, 기형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 동맥경화증: 동맥경화는 혈관벽이 두꺼워지고 딱딱해지는 상태로, 시간이 지나면서 혈관이 협착되고 기형이 생길 수 있습니다. 경동맥에 동맥경화가 생기면, 혈관벽의 탄력이 감소하고, 혈류의 흐름이 방해받을 수 있습니다.
  • 고혈압: 고혈압이 지속되면 경동맥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하면서 혈관벽에 손상이나 비정상적인 팽창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기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혈류의 정상적인 흐름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 감염: 경동맥에 감염이 발생하면 혈관벽이 약화되거나 염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감염이 혈관벽에 영향을 미치면 혈관의 구조가 변형되고 기형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세균성 심내막염은 혈관에 염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동정맥루(Arteriovenous Fistula): 일부 사람들에게는 외상, 수술 후유증, 혹은 질병에 의해 동맥과 정맥이 비정상적으로 연결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경동맥과 다른 혈관 사이의 비정상적인 연결이 형성되며, 혈류가 정상적으로 흐르지 않고, 부정적인 압력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3. 기타 원인

  • 유전자 변이: 일부 드문 유전자 변이가 혈관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경동맥에 기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질병과 관련된 기형: 특정 질병들이 경동맥 기형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리터 증후군(Rendu-Osler-Weber syndrome)과 같은 유전성 질환은 혈관에 기형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4. 증상

경동맥 기형은 일반적으로 혈류의 흐름에 영향을 미치며, 기형이 진행되거나 합병증이 발생할 때 신경학적인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증상은 기형의 정도, 위치 및 혈류에 미치는 영향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두통 (Headache)

  • 경동맥 기형이 혈류 흐름에 영향을 미치면 두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기형으로 인해 혈관이 비틀리거나 좁아지면, 혈류가 원활하게 흐르지 않아 두통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지속적이고 심한 두통은 경동맥 기형에 의해 뇌에 산소 공급이 부족해지는 경우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어지러움 또는 균형 장애 (Dizziness or Balance Issues)

  • 경동맥 기형으로 인한 혈류 장애는 뇌로 가는 산소 공급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어지럼증이나 균형을 잃는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특히 기형이 심각한 경우, 뇌에 충분한 혈액이 공급되지 않아 갑작스러운 어지러움이나 불안정한 걸음걸이를 느낄 수 있습니다.

3. 시각 장애 (Visual Disturbances)

  • 시력의 흐림이나 일시적인 시력 상실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경동맥 기형으로 인해 뇌로 가는 혈류가 감소하면서 뇌의 시각을 담당하는 부위에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아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일시적인 시력 저하 또는 눈 앞에 점이나 흐림이 나타나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4. 일시적인 마비나 감각 이상 (Transient Paralysis or Numbness)

  • 경동맥 기형으로 인해 뇌로 가는 혈액이 부족해지면 마비감각 이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주로 한쪽 팔이나 다리, 또는 얼굴의 일부에 나타나며, 일시적일 수 있습니다.
  • 특히 기형이 심할 경우, 이 증상들이 점차 악화되어 완전한 마비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5. 언어 장애 (Speech Problems)

  • 경동맥 기형으로 인해 혈류에 영향을 받는 뇌의 부위에 산소 공급이 부족해지면 언어 장애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말이 어눌해지거나 말을 제대로 할 수 없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이는 뇌의 언어를 담당하는 영역이 영향을 받을 때 발생합니다.

6. 의식 저하 또는 실신 (Loss of Consciousness or Syncope)

  • 경동맥 기형이 심해지면 혈류가 불충분해져 뇌에 필요한 산소와 영양분이 부족해지면서 의식 소실 또는 실신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흔히 일시적이지만, 기형이 진행되면 의식 장애가 지속되거나 영구적인 뇌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7. 심한 경우, 뇌졸중 (Stroke)

  • 경동맥 기형이 심해지거나, 기형에 의한 혈전이 형성되면 뇌로 가는 혈류가 완전히 차단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뇌졸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뇌졸중의 증상은 갑작스러운 말하기 어려움, 한쪽 팔 또는 다리의 마비, 시력 상실, 어지러움 등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8. 청력 이상 (Hearing Issues)

  • 경동맥 기형이 귀로 가는 혈류에도 영향을 미치면, 청력 저하나 이명(귀에서 울리는 소리)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경동맥 기형이 외경동맥(external carotid artery)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귀와 관련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출처: 서울아산병원

5. 치료 및 수술 방법

경동맥 기형의 치료 및 수술 방법은 기형의 위치, 크기, 형태, 그리고 증상의 심각성에 따라 다르게 결정됩니다. 경동맥 기형이 심각한 증상을 유발하거나 혈류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경우, 치료가 필요하며, 치료 방법은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보존적 치료 (Conservative Treatment)

경동맥 기형이 경미하거나 증상이 일시적인 경우, 보존적 치료가 우선시될 수 있습니다. 보존적 치료는 주로 기형이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위험이 낮을 때 적용됩니다.

  • 약물 치료:
    • 항응고제혈전용해제를 사용하여 혈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이미 형성된 혈전을 치료할 수 있습니다.
    • 고혈압 치료: 고혈압이 경동맥 기형의 진행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고혈압을 조절하기 위해 약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고혈압을 조절함으로써 기형의 악화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 혈액순환 개선제: 혈액순환을 개선하는 약물을 사용하여 경동맥을 통해 흐르는 혈액의 흐름을 촉진시킬 수 있습니다.
  • 모니터링: 경동맥 기형이 발견된 경우, 주기적인 MRI 또는 초음파 검사를 통해 기형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기형이 악화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상태를 점검합니다.

2. 수술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경동맥 기형이 크거나 증상이 심각한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수술은 기형의 형태와 위치,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에 따라 다르며,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있습니다.

 

2.1 경동맥 수술 (Carotid Artery Surgery)

  • 동맥류 절제술 (Aneurysm Resection): 동맥류가 발생한 경우, 동맥류 부위를 제거하고 정상적인 혈관으로 대체하는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수술은 경동맥 벽을 제거하고, 혈류가 정상적으로 흐를 수 있도록 인공 혈관(인공 동맥)을 이식하거나, 주변 혈관을 사용해 재건할 수 있습니다.
  • 혈관 내막절제술 (Endarterectomy): 경동맥의 협착이나 혈전이 발생한 경우, 경동맥 내막절제술이 시행될 수 있습니다. 이 수술은 협착된 부분이나 혈전을 제거하여 정상적인 혈류를 회복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수술은 경동맥의 내벽을 절개하여 노폐물이나 혈전을 제거하고, 혈류를 개선하는 방식입니다.

2.2 내시경 수술 (Endovascular Surgery)

내시경 수술은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작은 절개를 통해 카테터를 혈관에 삽입하여 기형을 치료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회복이 빠르고 합병증이 적어 점차 많이 사용됩니다.

  • 스텐트 삽입 (Stenting): 내시경을 통해 스텐트를 삽입하여 경동맥의 협착된 부분을 확장하거나 혈류 차단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스텐트는 경동맥에 영구적으로 삽입되어 혈관이 다시 좁아지는 것을 방지합니다.
  • 혈관 내 코일 삽입 (Coil Embolization): 경동맥의 동맥류가 매우 크거나 파열 위험이 높은 경우, 내부에 코일을 삽입하여 혈류를 차단하고 동맥류를 치료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동맥류가 터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2.3 동정맥루 수술 (Arteriovenous Fistula Surgery)

경동맥과 다른 혈관 간에 비정상적인 연결이 발생한 경우, 이 연결을 차단하거나 복원하는 수술을 통해 정상적인 혈류를 회복할 수 있습니다. 동정맥루가 큰 경우, 수술을 통해 비정상적인 혈류 연결을 차단하여 혈류가 정상적으로 흐르도록 만듭니다.

 

3. 수술 후 관리

수술 후에는 환자의 회복을 돕기 위해 정기적인 검진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수술 후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항응고제 치료고혈압 관리가 중요합니다. 또한, 수술 후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신경학적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해야 합니다.

4. 기타 치료 방법

  • 방사선 치료: 드문 경우지만, 일부 경동맥 기형은 방사선 치료로 치료될 수 있습니다. 이는 주로 혈관 종양이나 기형을 축소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수술적 방법이 더 많이 사용됩니다.

6. 예후와 관리 방법

경동맥 기형예후관리 방법은 기형의 종류와 심각성, 치료 방법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경동맥 기형은 진단 후 적절한 치료정기적인 추적 관찰이 매우 중요합니다. 예후는 기형의 위치, 크기, 혈류에 미치는 영향 등에 따라 달라지며, 치료가 잘 이루어질 경우 많은 경우 좋은 예후를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치료가 지연되거나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심각한 합병증이나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예후 (Prognosis)

 

1.1 좋은 예후

  • 경동맥 기형의 크기가 작고, 혈류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증상이 경미한 경우, 적절한 치료를 통해 회복이 가능하며 예후가 좋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약물 치료를 통해 기형의 진행을 예방하거나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 비침습적 치료내시경적 치료를 통해 증상이 개선되면, 예후가 양호한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내시경 수술은 회복이 빠르고 합병증이 적기 때문에 긍정적인 예후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1.2 나쁜 예후

  • 경동맥 기형이 크거나 복잡한 형태로 진행되었거나, 혈류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경우, 뇌졸중이나 기타 심각한 신경학적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기형이 파열되거나 혈류 차단이 발생할 수 있어 응급 치료가 필요하고, 예후가 나쁠 수 있습니다.
  • 늦게 발견되거나 치료가 지연된 경우, 신경학적 손상이 일어나고, 영구적인 신경학적 결손이나 후유증이 남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회복이 어려운 상황이 될 수 있습니다.

1.3 합병증

  • 뇌졸중: 경동맥 기형이 진행되어 혈류가 차단되면 뇌로 가는 혈액이 부족해져 뇌졸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동맥류 파열: 동맥류가 커지면 파열되거나 터질 위험이 있습니다. 이는 급성 출혈을 초래하고 생명에 위험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신경학적 결손: 기형이 뇌혈류에 영향을 미칠 경우, 언어 장애, 마비, 시각 장애 등 신경학적 결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관리 방법 (Management)

 

2.1 정기적인 모니터링

  •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경동맥 기형의 진행 상황을 추적하고, 기형의 변화나 악화를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초음파 검사 또는 MRI를 통해 경동맥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기형이 커지거나 혈류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지 않도록 모니터링합니다.
    • 혈압 관리: 고혈압이 경동맥 기형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혈압을 정상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약물치료로 혈압을 조절하는 것이 좋습니다.

2.2 약물 치료

  • 경동맥 기형이 혈류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항응고제혈전용해제를 사용하여 혈전의 형성을 방지하거나 기존의 혈전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 고혈압 관리: 고혈압이 경동맥 기형의 악화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혈압을 낮추는 약물을 사용하여 혈관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2.3 생활 습관 관리

  • 균형 잡힌 식사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혈액순환 개선체중 관리를 하여 혈관 건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과도한 염분 섭취는 혈압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저염식이 권장됩니다.
  • 금연절주도 중요합니다. 흡연은 동맥경화를 촉진하고, 과도한 음주는 혈압을 높일 수 있습니다.

2.4 심리적 관리

  • 만성적인 질환이나 기형이 치료 중일 때 환자는 정서적 지원을 받을 필요가 있습니다. 심리상담이나 스트레스 관리가 중요한 부분일 수 있습니다.
  • 불안감이나 우울증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관리도 중요합니다.

2.5 수술 후 관리

  • 수술 후 회복 기간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수술 후에는 정기적인 추적 검사혈류 모니터링을 통해 기형의 재발을 방지해야 합니다.
  • 항응고제 복용: 수술 후 혈전이 생길 위험을 줄이기 위해 항응고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때, 정기적인 혈액 검사를 통해 약물의 효과를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2.6 수술 후 합병증 예방

  • 혈류 재개선감염 예방상처 치유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수술 부위가 감염되지 않도록 청결 관리항생제 사용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시 의료진에 알리고 추가적인 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예방 방법

  • 경동맥 기형은 완전히 예방하기 어려울 수 있지만,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면 기형의 진행을 예방하거나 증상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혈압이나 혈당 등을 체크하고, 조기 발견하여 치료할 수 있습니다.

결론

경동맥 기형의 예후는 치료의 시기와 방법에 따라 크게 달라지며, 조기 진단적절한 치료가 예후를 크게 개선할 수 있습니다. 경동맥 기형을 가진 환자는 정기적인 검사혈압 관리, 건강한 생활습관 유지가 중요합니다. 치료 후에도 수술 후 관리합병증 예방에 주의하여, 기형의 재발을 막고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심실내 전도장애 우각차단 (Right Bundle Branch Block, RBBB)란? 종류, 원인, 증상, 치료 및 수술 방법

 

심실내 전도장애 우각차단 (Right Bundle Branch Block, RBBB)란? 종류, 원인, 증상, 치료 및 수술 방법

심실내 전도장애 우각차단 (Right Bundle Branch Block, RBBB)란? 심실내 전도장애(Intraventricular Conduction Delay)는 심장 내 전기 신호가 심실로 전달되는 경로에 장애가 발생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우각차

bwang2.tistory.com

 

다형성 심실빈맥 (Polymorphic Ventricular Tachycardia, PVT)란? 종류, 원인, 증상, 치료 및 수술 방법

 

다형성 심실빈맥 (Polymorphic Ventricular Tachycardia, PVT)란? 종류, 원인, 증상, 치료 및 수술 방법

다형성 심실빈맥 (Polymorphic Ventricular Tachycardia, PVT)란? 다형성 심실빈맥은 심실빈맥의 일종으로, 심실에서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빠른 심박동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부정맥입니다. 이는 심실

bwang2.tistory.com

심막의 출혈성 염증 (Hemorrhagic Pericarditis)이란? 특징, 원인, 증상, 치료 및 수술, 예후, 관리 방법

 

심막의 출혈성 염증 (Hemorrhagic Pericarditis)이란? 특징, 원인, 증상, 치료 및 수술, 예후, 관리 방법

1. 심막의 출혈성 염증 (Hemorrhagic Pericarditis)이란 무엇인가? 심막의 출혈성 염증 (Hemorrhagic Pericarditis)의 정의는 심장을 둘러싸고 있는 심막(pericardium)이라는 막에 염증이 발생하고, 그 염증에 의해

bwang2.tistory.com

 

심장육종(cardiac sarcoma)이란? 원인, 증상, 특징, 치료 및 수술 방법

 

심장육종(cardiac sarcoma)이란? 원인, 증상, 특징, 치료 및 수술 방법

심장육종(心臟肉腫, cardiac sarcoma)은 심장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원래는 심장 근육이나 심장을 구성하는 결합조직에서 발생합니다. 매우 드물고 치명적인 질환으로, 조기 발견이 어려운 경

bwang2.tistory.com

 

페이스메이커(심박 조정기) 증후군이란? 종류, 원인, 증상, 치료 및 수술 방법

 

페이스메이커(심박 조정기) 증후군이란? 종류, 원인, 증상, 치료 및 수술 방법

1. 페이스메이커 증후군이란 무엇인가?페이스메이커 증후군(혹은 페이스메이커 증후군)은 심장에 심박 조정기를 삽입한 환자들이 경험할 수 있는 증후군입니다. 이 증후군은 심박 조정기가 정

bwang2.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