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관계 질환

심부정맥부전증(Deep Venous Insufficiency)이란? 특징,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수술방법

질병연구소(Disease Research) 2025. 6. 11. 14:44
반응형

심부정맥부전증(Deep Venous Insufficiency, 또는 Chronic Venous Insufficiency of Deep Veins)은 심부정맥계에서 정맥혈이 효과적으로 심장으로 되돌아가지 못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로 인해 하지에 혈액이 정체되고 다양한 증상과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정의

심부정맥부전증(Deep Venous Insufficiency, DVI 또는 Chronic Deep Venous Insufficiency)은 하지의 깊은 정맥(deep veins) 내에 존재하는 **정맥 판막(valves)**이 손상되거나 기능이 떨어져, 정상적인 정맥혈의 흐름이 방해받고 역류가 발생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로 인해 하지(다리)에서 심장으로 향해야 할 혈액이 거꾸로 흐르거나 제대로 이동하지 못해 정맥 내 정체 및 압력 증가가 발생합니다.

정상적인 정맥은 중력에 저항해 혈액을 위로 올리기 위해 판막이라는 구조물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이 판막은 혈액이 아래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일종의 ‘문’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판막이 손상되거나, 정맥 벽이 늘어나 판막이 서로 닫히지 못하는 상태가 되면 **혈액이 아래로 새어 흐르는 역류(regurgitation)**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 현상이 만성적으로 지속되면 심부정맥부전증으로 진단됩니다.

심부정맥부전증은 **표재성 정맥부전증(예: 하지정맥류)**보다 더 깊은 정맥 계통에서 발생하며, 증상이 더 심하거나 치료가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심부정맥혈전증(DVT) 이후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이를 **혈전후증후군(post-thrombotic syndrome)**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정리하자면, 심부정맥부전증은 다음과 같은 상태를 포함합니다:

  • 깊은 정맥 내 정맥 판막 기능 부전
  • 혈류 역류 또는 정맥 내 혈류 정체
  • 하지의 정맥 압력 상승 (만성적인 고정맥압)
  •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부종, 피부 변화, 궤양 등의 증상

이는 단순히 혈액이 잘 흐르지 않는 것 이상의 문제로, 조직의 산소 공급에 장애를 주고 만성 염증과 조직 손상까지 유발할 수 있는 심각한 만성 순환기 질환입니다.


출처: 분당서울대학교병원

2. 특징

심부정맥부전증(Deep Venous Insufficiency, DVI)의 특징은 해부학적, 생리학적 변화와 이에 따른 임상 증상 및 합병증을 포함합니다. 아래는 심부정맥부전증의 주요 특징들을 최대한 자세히 설명한 내용입니다:

1. 정맥 판막 기능 부전 (Valve incompetence)

  • 정상적인 정맥은 판막(valve)을 통해 혈액이 한 방향(주로 심장 쪽)으로만 흐르도록 조절합니다.
  • 심부정맥부전증에서는 이 판막이 손상되거나 기능을 상실하여, 혈액이 심장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역류합니다.
  • 이 역류는 중력의 영향을 받는 하지에서 특히 두드러지며, 혈액이 아래쪽(발쪽)으로 고이게 됨.

2. 정맥 내압 상승 (Venous hypertension)

  • 역류 또는 정맥 내 혈류 정체로 인해 하지의 심부정맥 내 압력이 지속적으로 증가합니다.
  • 이 만성적인 고정맥압은 모세혈관과 세정맥(venules)에도 영향을 주어, 조직으로 체액과 혈액성분이 누출되는 부종과 염증의 원인이 됩니다.

3. 만성적인 하지 부종 (Chronic lower limb edema)

  • 정맥 내 압력 증가로 혈장 성분이 간질조직으로 빠져나가며, 하지에 지속적이고 대칭적인 부종이 발생합니다.
  • 특히 장시간 서 있거나 하루가 지날수록 발목과 종아리 주변의 부종이 심해짐.

4. 피부 변화 및 색소 침착 (Skin changes & hyperpigmentation)

  • 지속적인 정맥 고혈압은 모세혈관 누출, 적혈구 파괴, 철분 침착(hemosiderin deposition) 등을 유발합니다.
  • 이로 인해 피부가 어두운 갈색이나 청회색으로 변색되며, 주로 발목 안쪽(내측 복사뼈 주변)에 잘 나타납니다.
  • 피부가 얇아지고 쉽게 손상되며, 정맥성 피부염, 섬유화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하지 궤양 (Venous ulcer)

  • 고정맥압으로 인해 피부 및 피하조직의 산소 및 영양 공급이 저하되어 **만성적인 상처(궤양)**가 잘 생깁니다.
  • 주로 내측 복사뼈 근처에 생기며, 통증을 동반하거나 삼출물이 나올 수 있습니다.
  • 이 궤양은 치료가 어렵고, 자주 재발합니다.

6. 중력에 의한 증상 악화 (Gravity-related worsening)

  • 서 있거나 오래 앉아 있을수록 하지로 혈액이 몰려 증상이 악화됩니다.
  • 하루가 지날수록 무겁고 욱신거리는 느낌, 불편감, 저린 느낌이 심해지며, 잠잘 때는 증상이 경감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7. 다리의 무거움 및 피로감 (Leg heaviness and fatigue)

  • 지속적인 혈류 정체와 조직부종으로 인해 다리가 무겁고 피로하며, 쉽게 지침.
  • 활동 후 증상이 더 심해지고, 휴식을 취하거나 다리를 올리면 일시적으로 호전되기도 함.

8. 근육 경련 및 통증 (Cramps and pain)

  • 특히 밤에 잘 생기는 **쥐나는 증상(야간 경련)**이 흔하며, 이는 정맥순환 장애로 인한 산소 공급 부족과 관련이 있음.
  • 깊은 부위에서 **묵직한 통증(dull pain)**을 호소하며, 어떤 경우에는 따끔거림, 작열감이 동반될 수 있음.

9. 이차적인 표재성 정맥 질환 동반 (Secondary superficial venous disease)

  • 원래는 심부정맥 문제지만, 정맥압이 높아지면서 표재성 정맥에도 영향을 주어 **표재성 정맥류(하지정맥류)**가 생기거나 악화될 수 있습니다.
  • 표재성 정맥 치료만으로는 증상이 호전되지 않고, 재발률도 높습니다.

10. 혈전후 증후군(Post-thrombotic syndrome, PTS)의 주요 형태

  • 많은 경우 심부정맥혈전증(DVT) 이후 수개월~수년 후 발생하는 합병증으로, DVT로 인해 정맥이 막히거나 판막이 손상되어 부전증이 생깁니다.
  • 이 경우 심부정맥부전증은 단순한 순환장애를 넘어선 혈관 손상의 후유증으로 간주됩니다.

이러한 특징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악화될 수 있으며, 초기에 발견하고 관리하지 않으면 치료가 복잡하고 삶의 질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조기 진단과 장기적인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반응형

3. 원인

심부정맥부전증(Deep Venous Insufficiency, DVI)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대부분은 정맥 판막의 손상이나 기능 저하, 또는 정맥 자체의 구조적 이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아래는 가능한 원인들을 기전(병리학적 기초), 위험요인, 발생 상황으로 나누어 최대한 자세히 설명한 내용입니다.

1. 심부정맥혈전증(DVT, Deep Vein Thrombosis)

가장 흔하고 중요한 원인입니다.

  • DVT는 다리의 깊은 정맥 내에 혈전(피떡)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 이 혈전이 정맥을 막으면서 그 부위의 혈류 흐름을 차단하거나, 판막에 물리적 손상을 줍니다.
  • 시간이 지나면서 혈전은 녹거나 섬유화되어 없어지기도 하지만, 많은 경우 정맥 판막이 영구적으로 손상되어 혈류 역류가 발생합니다.
  • DVT 이후 수개월~수년 후 발생하는 심부정맥부전증은 **혈전후 증후군(Post-thrombotic syndrome, PTS)**의 일환으로 분류됩니다.

2. 정맥 판막의 퇴행성 변화 또는 손상

정맥 판막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구조적 변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노화로 인해 정맥 벽과 판막이 약화되고, 판막이 서로 밀착하지 못하면 역류가 발생합니다.
  • 이와 같은 퇴행성 변화는 만성적인 고정맥압을 유발하며, 혈관벽의 섬유화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특히 오랜 시간 서서 일하거나, 중력에 노출되는 시간이 긴 사람에서 위험이 높습니다.

3. 정맥 내압 증가를 유발하는 상태

정맥 내의 압력을 지속적으로 증가시키는 여러 요인들이 정맥부전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 비만

  • 체중이 많이 나갈수록 하체에 가해지는 압력이 커지며, 정맥이 눌려 혈류가 느려지고 판막 기능에 부담을 줍니다.

▪ 임신

  • 자궁이 커지면서 하대정맥과 골반 정맥을 압박하여, 다리에서 심장으로 올라가는 정맥혈의 흐름을 방해합니다.
  • 호르몬 변화(에스트로겐 증가)로 인해 정맥 벽이 이완되기도 합니다.

▪ 장시간 앉아 있거나 서 있는 직업

  • 움직임이 없을 경우 다리 근육이 수축하지 않아 정맥혈을 심장으로 밀어주는 ‘근육 펌프’ 기능이 약화됩니다.
  • 대표적인 직업군: 교사, 간호사, 비행기 승무원, 장거리 운전자, 사무직 근로자 등.

4. 정맥계 외상 또는 수술 이력

  • 하지 골절, 정맥 손상, 또는 정맥을 포함하는 수술(예: 골반 수술, 척추 수술 등) 후 정맥이 손상되면 혈류가 비정상적으로 흐르거나 정맥 폐쇄가 생겨 심부정맥부전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외상으로 인해 정맥벽이 찢기거나 압박을 받아, 판막 기능이 망가지게 됩니다.

5. 선천적인 정맥 판막 이상 또는 해부학적 기형

일부 환자는 태어날 때부터 정맥 판막의 수나 구조에 이상이 있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선천적 판막 결손이나 정맥 무형성증(agenesis), Klipple-Trenaunay syndrome 등의 혈관기형과 관련된 경우도 있습니다.
  • 이러한 경우는 조기에 발견되기 어렵고, 어린 나이에 하지 부종이나 정맥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6. 근육 펌프 기능 저하

하지 근육, 특히 종아리 근육은 수축 시 정맥혈을 위로 밀어올리는 펌프 역할을 합니다.

  • 운동 부족이나 노화로 인해 근육이 약화되면 정맥혈이 원활히 심장으로 가지 못해 정맥 내 정체가 심해집니다.
  • 하지 마비, 중풍(뇌졸중), 척수 손상 등으로 걷지 못하는 환자에서 흔하게 발생합니다.

7. 호르몬 영향

  • 여성 호르몬(에스트로겐)은 정맥 벽을 이완시키고 판막 기능을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 경구 피임약이나 호르몬 대체요법(HRT)을 장기 복용하는 경우 위험이 증가합니다.

8. 유전적 소인

  • 가족력이나 특정 유전적 변이가 있는 경우 정맥 벽이나 판막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 예: 정맥 탄력 섬유 이상, 염증성 유전질환 등

9. 기타 전신 질환 및 위험요인

  • 심부전, 신부전 등의 만성 질환으로 전신 혈액순환이 저하될 때 정맥순환도 악화됩니다.
  • 흡연, 고혈압, 당뇨병 등 혈관 건강을 해치는 요인들도 정맥부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요약 정리

분류 주요 원인

혈전성 요인 DVT, 혈전후 증후군
기능성 요인 정맥판막 퇴행, 근육펌프 저하, 압력 상승
구조적 요인 선천적 기형, 외상, 수술 후유증
생활 습관 장시간 앉음/섬, 비만, 운동 부족
호르몬 및 유전 임신, 여성호르몬 영향, 가족력

 

이처럼 심부정맥부전증은 단일 원인보다는 다양한 위험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환자의 병력, 생활습관, 기존 질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평가하고 치료해야 합니다. 필요하시면 원인에 따른 위험도 평가나 개인별 예방 전략도 도와드릴 수 있습니다.


4. 증상

심부정맥부전증(Deep Venous Insufficiency, DVI)의 증상은 정맥혈의 역류와 정체로 인해 하지(다리)에서 만성적인 고정맥압이 지속될 때 나타나는 일련의 변화들입니다. 증상은 비교적 초기의 불편감부터 심한 경우 궤양까지 매우 다양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악화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아래는 가장 흔하고 중요한 증상들을 병리기전, 임상 양상, 단계별 특징으로 최대한 자세하게 정리한 내용입니다.

1. 하지의 부종 (Edema of the leg)

  • 가장 흔한 초기 증상 중 하나.
  • 주로 발목과 종아리 아래쪽부터 시작되며, 장시간 서 있거나 하루가 지나면 심해짐.
  • 아침에는 거의 없거나 약하고, 저녁이나 퇴근 후에 심해지는 전형적인 시간 패턴이 있음.
  • 만성화되면 부종이 단단해지고 눌렀을 때 **압흔(pitting edema)**이 남기도 하며, 피부색도 변함.

2. 다리의 무거움과 피로감 (Heaviness and fatigue)

  • 환자들이 흔히 "다리가 무겁다", "철덩이 단 것처럼 힘들다"고 표현함.
  • 오래 걷거나 서 있을수록 증상이 심해지며, 휴식이나 다리 올리기로 일부 완화됨.
  • 근육에 유산소 공급이 부족해 쉽게 피로해지는 느낌이 동반됨.

3. 통증 (Pain or aching)

  • 지속적이고 묵직한 통증이 특징이며, 종종 ‘당기듯’, ‘찌릿찌릿’, ‘쑤시는 듯’한 느낌으로 표현됨.
  • 다리 전체가 아닌, 특정 부위(특히 발목 안쪽)에서 느껴질 수 있음.
  • 서 있거나 활동 후 심해지고, 다리를 올리거나 눕는 자세에서 완화되는 경향.

4. 야간 경련 (Nocturnal leg cramps)

  • 특히 밤에 잘 생기는 쥐나는 증상.
  • 잠을 방해할 정도로 통증이 심할 수 있으며, **종아리 근육(비복근)**에서 자주 발생함.
  • 이는 정맥혈 정체로 인해 근육에 산소 및 대사산물 제거가 잘 되지 않아 생기는 현상으로 설명됨.

5. 하지의 저림, 따끔거림, 이상감각 (Paresthesia)

  • 다리 피부 또는 깊은 부위에서 저림, 따가움, 전기 흐르는 느낌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음.
  • 주로 부종이 심한 부위 또는 정맥압이 높은 부위에서 나타남.
  • 감각신경이 압박되거나 염증성 변화가 생길 경우 더욱 심해짐.

6. 피부 변화 (Skin changes)

  • 만성 고정맥압으로 인해 피부에 **혈액 성분(특히 적혈구의 철분 성분)**이 침착되면서 색소침착이 발생함.
  • 흔히 **갈색 또는 회갈색 변색(brownish discoloration)**이 발목 안쪽(내측 복사뼈 근처)에 생김.
  • 피부가 점차 딱딱해지고, 두꺼워지고, 탄력성이 줄며, 가렵거나 습진 형태의 염증이 발생할 수 있음(정맥성 피부염).

7. 피부 궤양 (Venous ulcer)

  • 심부정맥부전증의 가장 심각한 합병증 중 하나.
  • 피부가 약해지고 혈류 공급이 떨어지며 작은 상처도 잘 아물지 않고 궤양으로 진행될 수 있음.
  • 궤양은 **보통 내측 복사뼈 주변(ankle medial malleolus)**에 잘 생기고, 만성적으로 재발하며, 통증을 동반하기도 함.
  • 삼출물(진물)이 많이 나올 수 있고, 이차 감염의 위험도 높음.

8. 피부 가려움증 및 염증 (Itching and dermatitis)

  • 피부가 얇아지고 건조해지면서 가려움증이 나타나며, 계속 긁을 경우 2차 손상과 염증이 발생함.
  • **정맥성 습진(venous eczema 또는 stasis dermatitis)**이라고도 하며, 붉은 발진, 진물, 가피(딱지) 형성이 동반될 수 있음.

9. 색소침착과 경피화 (Hyperpigmentation and lipodermatosclerosis)

  • 반복된 염증과 출혈, 섬유화 반응으로 인해 피부가 단단해지고, 지방조직이 피부처럼 딱딱하게 변하는 섬유화 현상이 생김.
  • 이를 **지방피부경화증(lipodermatosclerosis)**이라 하며, 염증성 세포와 섬유화 조직이 모세혈관 주변에 침착되어 나타남.
  • 이 부위는 특히 궤양 발생 위험이 큼.

10. 표재성 정맥류 동반 (Superficial varicosities)

  • 심부정맥부전증이 표재성 정맥에도 영향을 줄 경우, 다리 겉으로 구불구불한 정맥이 보이거나 만져짐.
  • 이 경우 단순 정맥류보다 더 근본적인 원인이 있어 치료가 복잡할 수 있음.

11. 양측성 증상 vs. 편측성 증상

  • 대부분 양측(양다리)에서 증상이 나타나지만, 과거 DVT 병력이 한쪽에만 있거나 정맥 손상이 편측일 경우 한쪽 다리만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이 경우 비대칭적인 부종, 피부 변화, 통증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12. 기온과 계절에 따른 변화

  • 더운 날씨에는 정맥이 확장되어 부종과 통증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음.
  • 추운 날씨에는 일시적으로 증상이 완화되지만, 만성화된 경우 계절과 관계없이 증상 지속.

종합 요약 (증상의 진행 단계별 분류)

단계 주요 증상

초기 다리 무거움, 피로감, 부종, 야간 경련
중간 피부색 변화, 가려움, 표재성 정맥류, 저림
진행 갈색 변색, 피부 딱딱해짐, 진물, 통증 증가
말기 하지 궤양, 재발성 감염, 보행 장애, 삶의 질 저하

 

 

심부정맥부전증은 단순히 다리의 불편감으로 시작하지만, 방치할 경우 만성 궤양, 감염, 장애 등 심각한 결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증상이 초기일 때 조기에 진단받고 적극적인 관리와 치료가 필요합니다.


출처: 서울아산병원

5. 진단

심부정맥부전증(Deep Venous Insufficiency, DVI)의 진단은 임상 증상 확인과 함께 심부 정맥계의 구조적 및 기능적 이상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특히, 단순한 정맥류와 구분하고, 심부정맥혈전증(DVT)과의 관련성, 정맥 판막의 기능 부전 여부 등을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다음은 심부정맥부전증의 진단 과정 및 각 검사 방법에 대한 최대한 자세한 설명입니다.

1. 병력 청취 및 문진

진단의 첫 단계는 환자의 주관적 증상과 관련된 병력을 철저히 확인하는 것입니다.

주요 확인 항목:

  • 다리의 무거움, 통증, 부종, 저림, 피부변화, 궤양 등의 존재 여부와 지속 기간
  • 증상의 악화 및 완화 요인 (예: 오래 서 있을 때 악화, 다리 올리면 호전 등)
  • 과거 심부정맥혈전증(DVT) 또는 폐색전증(PE) 병력
  • 정맥류 시술 또는 정맥 관련 수술 이력
  • 임신, 비만, 가족력 등 위험인자
  • 복용 중인 약물 (예: 호르몬제, 항응고제 등)

2. 신체검사 (Physical Examination)

의사는 다음과 같은 정맥 이상 소견을 직접 관찰합니다:

관찰 소견:

  • 하지 부종 (특히 발목 주위)
  • 표재성 정맥의 팽창 또는 정맥류
  • 갈색 또는 붉은색 피부 변색 (색소침착)
  • 피부의 경화, 습진, 정맥성 피부염
  • 하지 궤양 유무 및 위치 확인 (주로 내측 복사뼈 주변)

촉진 및 검사:

  • 양측 다리 둘레 측정: 부종의 대칭 여부 확인
  • 압흔 확인: 부종이 눌러졌을 때 움푹 들어가는지(Pitting edema)
  • Trendelenburg test, Perthes test: 판막 이상 여부를 추정 (보조적 검사로 활용)

3. 도플러 초음파 검사 (Venous Duplex Ultrasound) – 핵심 진단 도구

비침습적이며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검사로, 정맥의 해부학적 구조 및 기능을 동시에 평가합니다.

주요 평가 항목:

  • 정맥 혈류의 방향성: 정상은 심장 방향, 역류 시 반대로 흐름
  • 정맥 판막의 기능: 판막이 닫히지 않으면 역류 확인
  • 정맥 내 혈전 유무: 혈전이 남아 있는지 또는 과거 혈전의 흔적 확인
  • 정맥 직경 변화: 정체된 정맥은 직경이 비정상적으로 넓어질 수 있음

검사 기법:

  • Valsalva maneuver (복압 증가 유발) 또는 다리 압박을 통해 역류 유도 후 평가
  • 역류 지속시간이 0.5~1초 이상이면 병적 역류로 간주

4. 정맥 기능 검사 (혈류역학적 검사)

▪ 정맥 충만 시간 검사 (Venous Filling Time)

  • 혈류가 역류하는 속도를 측정하여 판막 기능 부전 여부를 판단
  • 정맥충만시간이 20초 미만이면 비정상적으로 판단

▪ 광용적용적검사(PPG, Photoplethysmography)

  • 피부에 센서를 부착하여 정맥혈의 흐름을 간접 측정
  • 기능적인 정맥환류 시간(venous refill time)으로 역류 여부를 평가

▪ 발목-팔 혈압비 검사 (ABI)

  • 동맥 폐쇄성 질환을 동반한 경우 구분하기 위해 시행

5. 정맥조영술 (Venography) – 침습적 검사

초음파로 진단이 어렵거나, 수술 전 해부학적 평가가 필요한 경우 사용

정맥조영술 종류:

  • 대조 조영 정맥조영술 (Contrast Venography): 정맥 내에 조영제를 주입 후 X-ray 촬영
    • 가장 정확하지만 침습적이며 방사선 노출 및 조영제 부작용 위험이 있음
  • CT 정맥조영술 (CTV), MR 정맥조영술 (MRV): 해부학적 구조와 정맥 폐색 확인에 유리
    • 골반 및 복부 정맥까지 평가 가능 (특히 장골정맥, 하대정맥 병변 의심 시)

6. 기능적 정맥압 검사 (Venous Pressure Measurement)

  • 직접 정맥 내에 카테터를 넣어 하지에서의 정맥압을 측정
  • 고정맥압(Venous hypertension)이 존재하는지 확인 가능
  • 연구 또는 고난이도 치료 전 정밀 평가 시 사용

7. CEAP 분류 시스템 – 진단 및 임상 병기 평가용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분류체계로, 질병의 중증도를 객관적으로 나타냄

CEAP 분류:

  • C (Clinical): 육안적으로 보이는 병기 (예: 부종, 색소침착, 궤양 등)
  • E (Etiologic): 원인 (선천성, 후천성, 혈전성 등)
  • A (Anatomic): 병변이 위치한 정맥 (표재성, 심부, 관통정맥 등)
  • P (Pathophysiologic): 병리기전 (역류, 폐쇄, 혼합형 등)

→ 예: C4a, Ep, As, Pr → 색소침착을 동반한 후천성 표재성 정맥 역류

8. 추가 검사: 혈액검사

  • 직접 진단에는 사용되지 않지만, DVT 병력 의심 시 D-dimer 측정
  • 감염성 궤양, 혈액응고 장애, 간기능 검사 등을 함께 평가할 수 있음

요약 정리

진단 항목 주요 역할 특이점

병력 청취 초기 선별 DVT 병력, 가족력 등
신체검사 육안적 이상 확인 궤양, 부종, 색소침착
도플러 초음파 핵심 진단검사 정맥 역류, 판막 손상, 혈전 확인
정맥조영술 수술 전 정밀 평가 CT/MRI로 심부 정맥도 확인
CEAP 분류 병기 설정 및 경과 관찰 치료 계획 수립에 중요
광용적용적검사 정맥역류 시간 측정 비침습적, 보조적 검사

 

 

정확한 진단은 치료의 방향을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단순하지 않은 질환이므로, 심부정맥과 표재성 정맥의 감별, 혈전 유무 확인, 그리고 기능적인 장애 평가가 모두 이루어져야 합니다.


6. 치료 및 수술 방법

심부정맥부전증(Deep Venous Insufficiency, DVI)의 치료는 환자의 증상, 병기, 해부학적 위치, 기능 손상 정도, 혈전 여부에 따라 달라지며, 보존적 치료, 약물 치료, 비수술적 중재술, 수술적 치료로 구분됩니다. 이 질환은 단기적으로 증상을 줄이는 것뿐 아니라, **장기적으로 합병증(예: 궤양, 피부 경화,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치료의 핵심입니다.

아래는 최대한 자세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한 치료 및 수술 방법입니다.

1. 보존적 치료 (Conservative treatment)

경증 환자나 수술 전후 보조요법으로 시행하며, 치료의 기본이 되는 방법입니다.

▪ 압박 요법 (Compression therapy)

  • 가장 기본이자 효과적인 치료로, 하지 외부에서 압력을 가해 정맥 내압을 줄이고 정맥혈의 역류와 정체를 완화함.
  • 의료용 압박 스타킹 사용: Class 1~3로 압력 차등이 있으며, 보통 20–30 mmHg 이상 권장
  • 밴디지 치료: 궤양이 있거나 스타킹 착용이 어려운 경우 사용
  • 다리 올리기: 하루 수차례, 다리를 심장보다 높게 올려 정맥귀환 유도
  • 규칙적인 걷기 운동: 종아리 근육 펌프 활성화

▪ 생활 습관 개선

  • 장시간 서 있거나 앉는 자세 피하기
  • 체중 감량
  • 정기적인 다리 스트레칭 및 운동
  • 금연 및 식이 조절

2. 약물 치료 (Pharmacologic therapy)

보조적인 역할이며, 특히 부종 감소정맥기능 개선을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 정맥용 약물 (Venoactive drugs)

  • 다이오스민(Diosmin), 헤스페리딘(Hesperidin) 등 플라보노이드 계열
  • 정맥 벽과 판막의 기능을 강화하고, 모세혈관 누출을 줄여 부종과 염증을 완화

▪ 이뇨제

  • 단기간에 부종을 줄이기 위해 사용 (만성 사용은 전해질 이상 유발 가능)

▪ 항응고제 (Anticoagulants)

  • DVT 병력 있는 환자에서 사용
  • 와파린, DOAC(리바록사반, 아픽사반 등): 재혈전 예방 및 진행 억제

3. 비수술적 중재치료 (Minimally Invasive Interventions)

특정 부위의 역류나 폐쇄된 정맥을 회복시키기 위한 치료

▪ 경피적 혈관 내 고주파/레이저 치료 (Endovenous thermal ablation)

  • 주로 표재성 정맥 역류에 사용하는 치료이나, 심부정맥부전과 병합된 경우 보조 치료로 시행 가능
  • 도플러로 확인된 표재정맥 역류를 제거하여 전체 정맥순환 개선

▪ 정맥 내 스텐트 삽입 (Venous stenting)

  • 장골정맥, 하대정맥 등에서 폐쇄나 협착이 있을 경우 금속 스텐트를 삽입해 정맥 통로를 재개통
  • 특히 May-Thurner syndrome과 같이 좌측 장골정맥이 눌려있는 경우에 효과적
  • 정맥 초음파나 정맥조영술로 병변을 정확히 확인 후 시술

▪ 정맥 혈전 제거술 (Thrombectomy) + 혈전 용해요법

  • 급성 DVT가 있는 경우 혈전을 제거하거나 녹여서 정맥 판막 손상을 최소화
  • 혈전 제거 후 남은 협착부위에 스텐트를 삽입하기도 함

4. 수술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비수술적 치료로 효과가 없거나, 심한 궤양, 기능적 손상, 판막 부전이 명확한 경우 시행됩니다.

▪ 정맥 판막 성형술 (Valve reconstruction or valvuloplasty)

  • 손상된 심부정맥 판막을 직접 재건하거나 봉합하여 역류를 줄이는 수술
  • 직접 접근법: 정맥을 절개하여 판막을 수술적으로 교정
  • 간접 접근법: 외부에서 정맥 벽을 당겨 판막 기능을 회복

→ 이 수술은 고난도 기술이 요구되며, 선별된 환자에서만 시행

▪ 정맥 이식술 (Venous valve transplantation)

  • 타 정맥(예: 상지의 정맥)에서 기능이 정상인 판막을 채취하여, 손상된 심부정맥에 이식
  • 드물게 시행되며, 실험적 수준에 가까운 고난도 수술임

▪ 정맥 우회술 (Venous bypass surgery)

  • 심하게 폐쇄되거나 기능이 없는 정맥을 피해, 정상 정맥으로 혈류를 우회
  • 주로 하지 궤양이 지속되고 다른 치료에 실패한 경우 적용

▪ 관통정맥 결찰술 (Subfascial endoscopic perforator surgery, SEPS)

  • 역류가 발생하는 관통정맥(깊은 정맥과 표재정맥을 연결하는 부위)을 결찰하거나 절제하여 역류 차단
  • 내시경으로 시행하며, 하지 궤양의 원인이 되는 역류 제거에 효과적

5. 만성 궤양 치료

심부정맥부전증의 결과로 발생한 정맥성 궤양은 치료가 매우 어렵고, 재발률도 높습니다.

▪ 상처 치료

  • 습윤 드레싱, 항생제 크림, 피부 보호제 등을 사용하여 감염 예방
  • 필요 시 피부 이식술(피부편 이식, split-thickness skin graft) 적용

▪ 압박요법과 병행

  • 궤양 치료 중에도 압박 스타킹 또는 압박 붕대는 필수

▪ 고압산소치료, 음압상처치료(NPWT) 등도 일부 활용

치료 방법 요약 표

치료 방식 목적 적용 대상

압박요법 정맥압 감소, 증상 완화 전 환자
약물치료 부종, 염증 완화 보조적
혈관내 치료 정맥 역류/폐쇄 교정 국소 병변
판막성형술 역류 판막 재건 선별된 고위험 환자
정맥 스텐트 폐쇄 정맥 개통 장골/하대정맥 병변
궤양 치료 상처 치유 촉진 C6 환자

 

치료 선택 시 고려 요소

  • CEAP 분류 기준 (병기)
  • 증상의 중등도
  • 역류 위치 (표재성 vs 심부 vs 관통정맥)
  • DVT 유무
  • 생활 습관 및 순응도

결론

심부정맥부전증은 복합적인 치료가 필요한 만성 질환으로,
단순히 수술만으로 완치되기보다는 지속적인 압박요법과 생활 관리, 필요 시 수술적 개입이 함께 이뤄져야 합니다.
각 치료는 환자의 상태에 맞게 단계적으로 결정되며, 정맥외과 또는 혈관외과 전문의와의 협진이 매우 중요합니다.


7. 예후와 관리방법

심부정맥부전증(Deep Venous Insufficiency, DVI)은 만성적이고 진행성인 질환으로, 완전한 "치유"보다는 증상 조절과 합병증 예방,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장기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예후는 원인, 병기, 치료 시점, 치료 방법, 환자의 순응도 등에 따라 달라지며, 적절히 관리하면 궤양과 장애 없이 일상생활이 가능합니다.

다음은 최대한 자세하게 정리한 예후와 관리방법입니다.

1. 예후 (Prognosis)

▪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요소 설명

정맥판막 손상 정도 심할수록 역류가 크고 예후가 나쁨
혈전 여부 과거 DVT 병력이 있거나 재발할 경우 예후가 나빠짐
치료 시점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할수록 합병증 감소
치료 방법 비수술적 요법만으로는 완전한 역류 교정이 어렵고, 병합 치료 시 예후 향상
생활습관 및 순응도 압박 스타킹 착용, 운동 지속 여부에 따라 궤양 재발률에 큰 차이
기저 질환 유무 심부전, 당뇨, 비만 등 전신 질환은 회복력과 치유 속도에 영향

 

▪ 예후별 예시

  • 경증(C1–C3): 적절한 압박 치료와 운동 병행 시 증상 통제 가능, 생활에 큰 지장 없음
  • 중등도(C4–C5): 피부 변색, 피부염이 있을 수 있으나 꾸준한 관리로 궤양 없이 유지 가능
  • 중증(C6): 하지 궤양 반복, 완전한 치유까지 수개월~수년 소요 가능, 재발률 높음

▪ 하지 궤양의 재발률

  • 첫 번째 궤양 발생 후, 1년 내 재발률: 20–30%
  • 적절한 압박요법과 예방적 치료 없을 경우 5년 내 재발률: 50% 이상

▪ 장기 예후

  • 완전한 회복은 어렵지만, 압박요법+생활관리+필요한 수술을 병행하면 대부분의 환자에서 증상 조절 가능
  • 그러나 방치하거나 치료를 중단하면 진행성으로 악화되어, 만성 피부병변, 궤양, 감염, 운동 기능 저하로 이어짐

2. 관리 방법 (Management)

A. 일상생활 관리

▪ 압박 스타킹 착용

  • 매일 착용이 원칙, 아침에 부종이 적을 때부터 착용
  • 다리를 심장보다 높게 올릴 수 없는 상황에서는 특히 중요
  • 잘 맞는 스타킹 선택: 발끝, 종아리, 무릎, 허벅지까지 등 다양한 압박 등급(Class I–III) 존재
  • 습도 높은 여름철에도 착용 지속이 중요 (통기성 좋은 제품 선택 권장)

▪ 다리 높이기

  • 하루에 3회 이상, 15–30분씩 다리를 심장보다 높게 올리기
  • 취침 시 베개를 발 밑에 두는 것도 도움됨

▪ 규칙적인 운동

  • 가장 효과적인 운동: 걷기
  • 종아리 근육 펌프 기능이 활성화되어 정맥귀환을 돕고 부종을 줄임
  • 수영, 실내자전거 등 관절에 무리 없는 유산소 운동도 추천

▪ 체중 조절

  • 비만은 정맥압을 증가시키므로 체중 감량이 매우 중요

▪ 금연

  • 흡연은 말초혈관에 악영향을 미치며 궤양 치유를 방해

B. 피부 관리

▪ 보습 유지

  • 피부 건조와 갈라짐은 2차 감염의 원인이 되므로 보습제 사용 권장

▪ 항염증 및 피부염 치료

  • 정맥성 피부염이 있는 경우에는 국소 스테로이드 연고 사용
  • 가려움증 지속 시 2차 세균 감염 위험 있음 → 필요시 항생제 치료

▪ 상처 관리

  • 정맥성 궤양이 발생한 경우, 습윤 드레싱, 은 함유 드레싱, 항생제 적용 등 상처치료 병행
  • 감염 의심 시 조직배양 검사를 시행

C. 정기적인 병원 추적 관리

  • 정기적으로 정맥 초음파 검사를 통해 역류 상태, 협착, 재혈전 등을 확인
  • 궤양이나 색소침착의 변화 확인
  • 약물 부작용, 스타킹 순응도, 운동 실천 여부 등 점검

D. 심리·사회적 관리

  • 심한 경우 하지 궤양으로 인해 일상생활 및 직업 활동 제한, 우울감, 위축감이 생길 수 있음
  • 지속적 통증, 진물, 외관상의 문제로 인해 삶의 질 저하
  • 이런 경우 심리 상담, 가족의 지지, 자조모임 연결 등 다학제적 관리가 중요

3. 장기 관리의 핵심 요약

관리 항목 목적

압박요법 지속 정맥압 감소, 역류 완화
규칙적 운동 근육 펌프 활성화
피부 보호 감염 예방, 궤양 방지
체중 조절 하지 부담 감소
정기 초음파 검사 역류 및 협착 추적
생활습관 교정 재발 예방
궤양 치료 병행 합병증 최소화

 

4. 예방적 조치

  • DVT 경험이 있는 환자에서는 항응고제 복용 유지, 장시간 비행 시 압박 스타킹 착용과 간헐적 다리 운동이 중요
  • 수술 전후에는 DVT 예방을 위한 기계적 압박 장치나 조기 보행 시행

결론

심부정맥부전증은 완치보다는 ‘조절’이 핵심인 질환입니다.
적극적인 초기 치료와 꾸준한 관리로 대부분의 환자가 일상생활을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압박요법·운동·피부관리·정기검사는 예후 개선의 네 가지 핵심입니다.
궤양이 반복되거나 삶의 질이 현저히 떨어질 경우에는 정맥전문의와 수술적 치료를 포함한 다학제적 접근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필요하시면 단계별 관리계획표나 궤양 예후에 대한 상세 설명도 추가로 드릴 수 있습니다.

 

 

 

직장정맥류(Rectal Varices)이란? 특징,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수술방법

 

직장정맥류(Rectal Varices)이란? 특징,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수술방법

직장정맥류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은 질환이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매우 중요한 임상적 문제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 정의부터 예후 및 관리방법까지 체계적으로 정리해드리겠습

bwang2.tistory.com

 

관통정맥류(Perforator Vein Varicosity)이란? 특징,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수술방법

 

관통정맥류(Perforator Vein Varicosity)이란? 특징,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수술방법

관통정맥류는 하지 정맥류의 한 유형으로, **관통정맥(perforating vein)**에 이상이 생겨 정맥류가 발생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 정맥은 표재정맥과 심부정맥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정상적인 경

bwang2.tistory.com

 

정맥류(varicose veins)이란? 특징,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수술방법

 

정맥류(varicose veins)이란? 특징,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수술방법

정맥류는 정맥이 확장되고 비정상적으로 꼬불꼬불해진 상태를 말합니다. 주로 다리에서 발생하며, 눈으로 보일 정도로 튀어나오거나 푸르게 비쳐 보이기도 합니다. 이는 정맥 내 판막이 제대로

bwang2.tistory.com

 

호흡기계 경화증(Pulmonary Sclerosis)이란? 특징,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수술

 

호흡기계 경화증(Pulmonary Sclerosis)이란? 특징,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수술

호흡기계 경화증(Pulmonary Sclerosis)은 호흡기계의 조직, 특히 폐와 관련된 경화성 변화가 일어나는 질환입니다. 이 경화는 조직의 염증, 섬유화(fibrosis) 또는 비정상적인 세포 증식으로 인해 발생하

bwang2.tistory.com

 

신장경화증(Nephrosclerosis)이란? 특징,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수술방법

 

신장경화증(Nephrosclerosis)이란? 특징,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수술방법

신장경화증은 신장의 혈관 및 조직에 섬유화가 진행되어 신장 기능이 저하되는 만성적인 질환입니다. 신장경화증은 신장에 발생하는 섬유성 변화로 인해 신장 기능이 점차적으로 악화되며, 이

bwang2.tistory.com

 

반응형